TIL(03.19/ 1W 4D/ Thur)

Seokhwan Yi·2020년 3월 24일
0

TIL

목록 보기
3/9

Data-Structure series

Stack?

stack

사전적의미: 쌓다.
스택을 공부하면서 우리집에 있는 선반이 생각이 났다.
설거지하고 쌓이면 계속 위에서 쓰이는 접시만 쓰인다...
뭐 Last in First Out 라고 불리는데
간단히 마지막에 들어온게 처음에 나간다... 쓰이는 놈만 쓰인다.

Method?

storage: 자료담기.
count: 얼마나 들어오고 나갔는지 세기.
push: 삽입.
pop: 삭제.
size: 자료 갯수 반환.

pseudo code

스택 객체 만들기 > 비공개 변수로 즉시 호출(클래스와 비슷한 역할) >스택의 객체에 푸시를 했을때 카운트 변수를 통해 카운트:value값으로 객체 저장 및 카운트값 +1>스택객체에서 저장한 value값을 꺼낼때 count값이 0보다 클때와 작을때(비었을때) 를 생각해 나눠준다.
이때, count>0 으면 count-=1 해주고, 그 외의 경우 "empty storage"로 알려준다. > 그리고 남았는 storage의 count를 리턴한다.> 스택 객체의 size는 count를 리턴해준다.

functional

functional-shared

prototypal

pseudoclassical

Queue?

queue

사전적의미: 열
들어오면 나가고...이게 끝이다.
정말로...
queue

Method

storage: 자료담기.
count: 얼마나 들어오고 나갔는지 세기.
(front 앞에서 세기, back 뒤에서 세기도 구현해보자.)
size: 얼마나 반환 했니.

pseudo code

큐 객체 만들기 > 비공개 함수 someInstance 만들어주기> storage에 front, back, count 만들어주기>
enqueue메소드를 통해 값이 들어오면 back, count 1씩 증가시켜준다. 이때 들어온 값 return해주기. >
dequeue메소드를 통해 front값 1씩 증가해주고 count 1감소 그리고 storage에 벨류 값(key: value<)을 지워준다. 그리고 리턴해준다.>
size메서드를 통해 count값을 리턴해주면 데이터가 남아있는 갯수 반환.

functional

functional-shared

prototypal

pseudoclassical

profile
위대한 한잔을 좋아 합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