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NoSQL과 RDBMS

Cherry Jin·2024년 1월 15일
0

sparta_내배캠

목록 보기
39/53
post-thumbnail

NoSQL과 RDBMS

데이터 저장 방식에 따른 분류

  • NoSQL(Not only SQL)
  • RDBMS(Relational DataBase Management System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매니지먼트 시스템)

NoSQL

NoSQL은 동적으로 데이터 구조를 변경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가지고 있다. 대표적으로 MongoDB가 있고, JSON 형식의 도큐먼트를 저장한다. 중첩된 객체 및 배열을 포함할 수 있다. 일관된 schema없이 데이터를 저장하기 때문에 동적인 변경이 가능하다.

단순하고 빠른 쿼리 , 데이터 입력이 가능하다.

단점

  • 동적으로 변경이 가능하기 때문에 일관성을 보장하기 어려울 수 있고, 데이터 중복이 발생할 수 있다.
  • schema가 없기 때문에 Join연산 등의 처리가 어려울 수 있다.
{
   "_id": 1,
   "name": "John Doe",
   "age": 30,
   "city": "New York"
}

RDBMS

  •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며 각 테이블이 관계성을 가지고 있다.
  • 데이터는 고정된 schema를 따라야한다.
    - 데이터 일관성과 무결성을 보장한다.
    • 복잡한 연산을 지원할 수 있다.
  • 다만 schema의 변경이 어렵고 확장성이 제한적이다.

요약

RDMS를 사용할 경우 데이터 관계와 일관성에 중점을 두고, NoSQL은 유연한 데이터 구조, 확장성에 중점을 두게 된다.

profile
풀스택이 되버린 주니어 개발자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