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상위 계층으로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이 네트워크에 접속 할 수 있게 해주는 계층
애플리케이션의 예시) 페이스북,인스타그램,당근마켓 등
쉽게 얘기하면 사용자가 웹,이메일, 파일 공유 등 실제로 사용하는 것들을 체감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계층인데, 이 계층에 속한 프로토콜들로 인해 통신할 수 있게 된다.
각각의 구조에서 프로세스간 통신을 하기 위해서 서로의
IP(특정 컴퓨터의 주소)와 PORT(특정 프로세스의 주소)가 필요하다.
하위 대표적인 프로토콜들은 모두 Client-Server 방식의 프로토콜 들이다.
통신 프로토콜 또는 통신 규약은 컴퓨터나 원거리 통신 장비 사이에서 메시지를 주고 받는 양식과 규칙의 체계이다. 즉 통신 규약 및 약속이다.

주로 웹 브라우저와 웹 서버 간의 통신에 사용되며, 클라이언트가 서버로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을 반환하는 구조
Request

Response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역으로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하는 프로토콜. 클라이언트 - 서버 모델로 동작한다.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가 서버에 파일을 업로드하거나 다운로드할 수 있다. 클라이언트와 서버 사이에 파일 전송을 위한 제어 및 데이터 연결을 사용합니다.
간단한 파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FTP와 비교해 기능이 제한적이며, 주로 부트로더 등에서 사용된다.
이메일 전송을 위한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가 메일 서버로 이메일을 보내고 서버가 메일을 전달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 장치의 관리와 모니터링을 위한 프로토콜로, 관리자가 네트워크 장치의 정보를 조회하고 제어하기 위해 사용된다.
원격 접속을 위한 프로토콜로, 클라이언트가 원격 서버에 접속하여 텍스트 기반의 명령을 입력하고 결과를 받아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보안상의 이유로
SSH가 현재는 더 권장되고 사용된다.
- HTTP
https://cano721.tistory.com/19#footnote_19_1- SSL
https://cano721.tistory.com/61- P2P, Client-Server 방식
https://choidr.tistory.com/entry/%EB%84%A4%ED%8A%B8%EC%9B%8C%ED%81%AC-%EC%9D%91%EC%9A%A9Application-%EA%B3%84%EC%B8%B5- 프로토콜이란?
https://computer-science-student.tistory.com/377- What is Application Protocol?
https://rohan-katkar19.medium.com/applications-layer-protocols-4820df9bd52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