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7141방문을 나타내는 별도의 2차원 배열을 사용하지 않고 풀었다. \-> 바이러스 시작 지점으로 선택받은 2 좌표들을 start_pos 집합안에 넣어서 매 조건문마다 탐색 좌표가 시작점인지를 검사하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69199일반적인 상하좌우 방향으로 한 칸씩 이동하는 BFS 문제에서 이동 조건만 변경된 문제이다.이동거리를 저장할 2차원 배열의 시작점은 0, 나머지는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59993시간복잡도가 충분히 여유있기 때문에 출발지점과 레버 두 지점에서 BFS를 각각 사용하여 안전하게 풀었다.
https://www.acmicpc.net/problem/6593기존에 자주 등장한 2차원 배열에서 z축을 추가한 문제이다.\[백준 5427번] 불 문제처럼 최단거리 값을 찾으면 즉시 while문을 탈출해야 최단거리가 계속 갱신되지 않는다. BFS 특성상 처음
https://school.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132266BFS를 100,000번 실행 => 시간초과BFS를 destination에서 한 번 실행 => 통과
https://www.acmicpc.net/problem/4179python3 에서 시간초과 나지 않는 코드 생각중..
https://www.acmicpc.net/problem/1976여행 계획에 해당하는 노드를 방문할 수 있는지를 BFS를 통해 확인했다.
https://www.acmicpc.net/board/search/all/problem/16234/32중 for문으로 모든 좌표를 한 개 씩 탐색해야 한다.한 번의 탐색으로 연합 여러개를 구분하려 해서 못 풀었었음
https://www.acmicpc.net/problem/13549최단시간 접근이라는 문제의 조건을 보고 BFS를 떠올렸어야 한다. 본인은 BFS로 접근해야 한다는 생각을 못했다. 고민하다가 알고리즘 분류 항목에서 BFS를 사용한다는 힌트를 보고 풀었다.if문
https://www.acmicpc.net/problem/4485각 좌표의 거리를 저장하는 2차원 배열 distance의 초기값을 INF값으로 설정한다. 이미 방문한 좌표를 더 작은 누적값으로 방문할 경우 if문에 의해 값을 최신화한다.
https://www.acmicpc.net/problem/2644딱 DFS와 BFS의 개념을 공부할 때 좋은 문제라고 생각한다.DFS의 경우 함수의 파라미터로 path를 추가하여 not in path방식으로 변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