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무의식적으로 덧셈이라는 연산 기호와 피연산자 1, 결과값 2 모두 기억하고 그 의미를 알고 있기 때문에 1 더하기 1은 2야 라고 말할 수 있다.반면, 컴퓨터에서는 연산과 기억을 따로 하는데, CPU가 연산작업을 처리하고 1과 2와 같은 값들은 메모리에 저장해서
1 + 1 = 2 와 같이 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를 값 이라고 한다. 평가는 + 기호니까 덧셈으로 연산해야돼 처럼 약속된 방식으로 해석하는 것을 의미한다.표현식 이란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명령문을 의미한다.즉, 어떤 값을 도출해낼 수 있으면 모두 표현식이라고 할
JS에서 데이터 타입은 크게 원시타입, 객체타입 2가지로 나뉜다.6가지 원시타입객체타입객체, 함수, 배열, 클래스 등은 모두 객체타입이다.모든 값은 각각의 데이터 타입이 있다.데이터 타입이 중요한 이유는 변수에 값을 할당할 때, 데이터 타입에 따라 필요한 메모리 공간이
타입 변환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JS 엔진이 값이 쓰이는 상황에 따라 타입 변환을 하는 암묵적 타입 변환개발자가 의도적으로 타입 변환을 하는 명시적 타입 변환위의 예시에서 str 을 출력해보면 '12' 로 문자열 타입으로 출력된다.분명 숫자 1 과 문자열 2 를 더했
JS에서 숫자, 문자, 불린, 심볼, null, undefined 6개는 원시 타입 이고, 그 외에는 객체 타입 으로 분류한다.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의 차이점은 무엇일까?바로 원시 타입은 immutable(변경 불가능) 한 값이고, 객체 타입은 mutable(변경 가능
1. 객체란? JS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원시 타입을 제외한 거의 모든 것이 객체로 이루어져 있다. 그만큼 객체가 무엇인지 이해하는 것은 JS를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객체는 다양한 데이터 타입의 값을 하나의 구성체로 정의한 복합적인 자료구조이다.
이전에 포스팅한 7. 함수 편의 중첩함수를 보면 전역에서 중첩 함수를 호출하거나 출력할 수 없었다. 그 이유를 스코프를 학습하면서 알아보자!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의미한다.식별자는 고유하게 여길 수 있는, 식별되어 구분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또한 식별자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