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시리즈는
github
의 DeFi Developer Roadmap Repo의 로드맵을 참고함
Distributed (분산된) + Ledger (장부) + Technology (기술)
즉, Ledger를 여러 공간에 분산시켜서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 기술이라고 보면 되겠다.
기존의 중앙화된 data store나 관리 기구가 없기 때문에 탈중앙화시스템이다.
transaction
정보를 중앙화된 서버가 아닌 분산화된 네트워크에 저장한다.
DLT는 simultaneous한 접근, validation, 정보 수정을 허용하는 기술적 구조와 프로토콜을 의미함.
모든 participant들이 공동으로 기록 및 관리 (verify process에 참여하는 셈)
모든 participant들이 접근 가능하므로, ledger에 대한 consensus를 수행하게 된다.
DLT 상의 data들은 immutable하다.
transaction이란?
항상 up-to-date (real-time data sharing)
투명성 제공
보다 보안적으로 우수함
central authority가 없으므로 single point of failure 없음
모든 participant가 consensus algorithm에 참여하므로..
모든 participant가 동일한, 가장 최신의 ledger를 공유하니까 악의적인 변경사항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Operational cost가 적음
Transaction 속도가 빠름
DLT의 한 부분
시간의 흐름에 따라 수직적으로 연결됨
과거의 transaction부터 현재의 transaction까지 block으로 연결하여 과거의 기록에 대한 위변조를 막는 기술
동일한 시간대에 저장장치들을 수평적으로 연결
중앙화된 장치가 아닌 여러 곳에 분산화된 저장 장치에 거래기록이 저장되고, consensus algorithm을 통해 기록에 대한 위변조를 막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