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036] 오늘의 정리

김동현·2023년 9월 20일
0

til

목록 보기
50/53
  1. 클라이언트에서 HTTP 요청을 보냅니다.
  2. Controller는 이 요청을 받아 DTO를 생성하고 Service 레이어에 전달합니다.
  3. Service 레이어에서는 받은 DTO를 가지고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하며, 필요한 경우 DAO를 사용하여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합니다.
  4. Service 레이어에서 처리한 결과를 다시 DTO로 패키징하여 Controller로 반환합니다.
  5. Controller는 결과를 HTTP 응답으로 클라이언트에게 반환합니다.

전반적인 웹 애플리캐이션의 동작 흐름. 예시를 들어보면

  1. 클라이언트 요청:

사용자가 웹 브라우저를 통해 "블로그 글 목록 조회"를 요청합니다.

2.Controller:

클라이언트의 요청을 받은 컨트롤러(Controller)는 이를 처리합니다.
Controller는 DTO를 생성하거나 파라미터에서 필요한 정보를 추출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블로그 글 목록 조회" 요청을 받았으므로, 해당 요청을 처리하는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3.Service:

Controller는 해당 요청을 처리하기 위해 Service 레이어에 작업을 위임합니다.
Service는 비즈니스 로직을 수행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블로그 글 목록 조회" 로직을 처리합니다.
Service는 필요한 데이터를 DAO에 요청하여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블로그 글 목록을 가져옵니다.

4.DAO:

DAO(Data Access Object)는 데이터베이스와 상호 작용하는 역할을 합니다.
DAO는 받은 요청에 따라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읽어오거나 업데이트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블로그 글 목록을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읽어오는 역할을 수행합니다.
데이터베이스 액세스:

DAO가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하여 블로그 글 목록을 검색합니다.

5.Service 결과 반환:

Service는 데이터베이스로부터 받은 블로그 글 목록을 DTO에 담아서 반환합니다.

6.Controller 결과 반환:

Controller는 받은 결과를 클라이언트에 응답으로 반환합니다.
이 예시에서는 브라우저에게 블로그 글 목록을 표시하는 HTML 페이지를 반환할 것입니다.

7.클라이언트 응답:

클라이언트(웹 브라우저)는 받은 응답을 화면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블로그 글 목록을 보여줍니다.

8.JSP는 서버 측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서 웹 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고, 자바 코드와 통합하여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하며,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성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를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의 뷰 부분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습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