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alueNotifier는 Flutter에서 상태 관리를 위해 사용되는 클래스 중 하나입니다. ValueNotifier를 사용하는 것은 특히 작은 또는 로컬 상태를 관리할 때 유용합니다. 이 클래스의 목적은 값의 변화를 감지하고, 그 변화에 반응하여 애플리케이션의 UI를 업데이트하는 것입니다.
ValueNotifier의 기본 개념데이터 저장 및 변경 감지: ValueNotifier는 어떠한 데이터 타입도 저장할 수 있으며, 이 데이터 값이 변경될 때마다 리스너들에게 알립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슬라이더가 있고 그 값의 변화를 추적하고 싶을 때 ValueNotifier<double>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스너 등록: ValueNotifier에 리스너를 추가하여, 값이 변경될 때마다 특정 동작을 수행하게 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값이 변경될 때마다 UI를 다시 그리도록 할 수 있습니다.
성능: ValueNotifier는 비교적 단순한 상태 변경에 적합합니다. 복잡한 상태 로직이나 전역 상태 관리가 필요한 경우, Provider, Bloc, Riverpod 등의 더 강력한 상태 관리 솔루션을 고려해야 합니다.
class MyWidget extends StatelessWidget {
final ValueNotifier<int> _counter = ValueNotifier(0);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ValueListenableBuilder<int>(
valueListenable: _counter,
builder: (context, value, child) {
return Center(
child: Text('Value: $value'),
);
},
);
}
void incrementCounter() {
_counter.value++;
}
}
위 예시에서, _counter는 ValueNotifier<int> 타입으로, 정수 값을 저장합니다. ValueListenableBuilder를 사용하여 _counter의 값이 변경될 때마다 Text 위젯이 업데이트되어 현재 카운터 값을 표시합니다.
ValueNotifier를 사용할 때는 메모리 누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이 끝난 후에 반드시 리소스를 해제해야 합니다. 클래스가 파기될 때 dispose 메서드를 호출하여 리스너를 해제하는 것이 좋습니다.
ValueNotifier는 UI를 업데이트할 때 전체 위젯을 재빌드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성능상 이점을 제공합니다. 그러나,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에서는 더 복잡한 상태 관리 접근 방법을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Flutter에서 ValueNotifier의 인스턴스를 0.0의 초기 값으로 선언한 코드 스니펫에 대해 몇 가지 모범 사례와 개선 사항을 살펴보겠습니다. 이것은 특히 주니어 개발자들에게 가독성과 이해를 높이기 위함입니다.
변수 명명: 변수 _range는 밑줄로 시작하여 클래스 내부에서만 사용됨을 나타냅니다. 이러한 명명 규칙이 프로젝트 전반에 일관되게 사용되는지 확인하세요. _range라는 이름은 다소 일반적입니다. 이 변수가 앱의 컨텍스트에서 무엇을 나타내는지를 더 잘 설명할 수 있는 이름을 고려해 보세요.
타입 주석: <double>로 ValueNotifier의 타입을 명확히 한 것은 좋은 습관입니다. 이는 코드의 가독성을 향상시키고 컴파일 시간에 관련된 타입 오류를 잡는 데 도움이 됩니다.
초기화 값: ValueNotifier는 0.0으로 초기화됩니다. 이 기본값이 변수의 목적에 적합한지 확인하세요. 범위가 특정 항목(예: 슬라이더의 값)을 나타낸다면 0.0이 초기 값인 이유를 설명하는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좋습니다.
문서화 및 주석: 선언 위에 ValueNotifier의 목적을 설명하는 주석을 추가하는 것이 매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주니어 개발자나 코드베이스에 새로운 사람들에게 유용합니다.
범위 및 접근성: 변수가 private임(밑줄로 표시됨)을 나타내므로 선언된 클래스 내에서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것이 의도한 사용과 일치하는지 확인하세요.
다음은 주석을 포함한 개선된 버전입니다:
// [어떤 기능, 예: 슬라이더]의 현재 값을 보유하기 위한 ValueNotifier입니다.
// [초기 상태를 설명하는] 0.0으로 초기화됩니다.
final ValueNotifier<double> _currentValue = ValueNotifier(0.0);
이 버전은 더 설명적인 변수 이름과 그 목적을 설명하는 주석을 포함하고 있어, 코드의 의도를 이해하는 데 크게 도움이 됩니다. 팀 환경에서, 특히 아직 배우는 중인 사람들에게 잘 주석 처리된 코드는 매우 중요합니다.
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class ExplicitAnimationsScreen extends StatefulWidget {
const ExplicitAnimationsScreen({super.key});
State<ExplicitAnimationsScreen> createState() =>
_ExplicitAnimationsScreenState();
}
class _ExplicitAnimationsScreenState extends State<ExplicitAnimationsScreen>
with SingleTickerProviderStateMixin {
late final AnimationController _animationController = AnimationController(
vsync: this,
duration: const Duration(seconds: 2),
reverseDuration: const Duration(seconds: 1),
)..addListener(() {
_range.value = _animationController.value;
});
late final Animation<Decoration> _decoration = DecorationTween(
begin: BoxDecoration(
color: Colors.amber,
borderRadius: BorderRadius.circular(20),
),
end: BoxDecoration(
color: Colors.red,
borderRadius: BorderRadius.circular(120),
),
).animate(_curve);
late final Animation<double> _rotation = Tween(
begin: 0.0,
end: 0.5,
).animate(_curve);
late final Animation<double> _scale = Tween(
begin: 1.0,
end: 1.1,
).animate(_curve);
late final Animation<Offset> _position = Tween(
begin: Offset.zero,
end: const Offset(0, -0.2),
).animate(_curve);
late final CurvedAnimation _curve = CurvedAnimation(
parent: _animationController,
curve: Curves.elasticOut,
reverseCurve: Curves.bounceIn,
);
void _play() {
_animationController.forward();
}
void _pause() {
_animationController.stop();
}
void _rewind() {
_animationController.reverse();
}
void dispose() {
_animationController.dispose();
super.dispose();
}
final ValueNotifier<double> _range = ValueNotifier(0.0);
void _onChanged(double value) {
_range.value = value;
_animationController.value = value;
}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print("build");
return Scaffold(
appBar: AppBar(
title: const Text('Explicit Animations'),
),
body: Center(
child: Column(
mainAxisAlignment: MainAxisAlignment.center,
children: [
SlideTransition(
position: _position,
child: ScaleTransition(
scale: _scale,
child: RotationTransition(
turns: _rotation,
child: DecoratedBoxTransition(
decoration: _decoration,
child: const SizedBox(
height: 400,
width: 400,
),
),
),
),
),
const SizedBox(
height: 25,
),
Row(
mainAxisAlignment: MainAxisAlignment.center,
children: [
ElevatedButton(
onPressed: _play,
child: const Text("Play"),
),
ElevatedButton(
onPressed: _pause,
child: const Text("Pause"),
),
ElevatedButton(
onPressed: _rewind,
child: const Text("Rewind"),
)
],
),
const SizedBox(
height: 25,
),
ValueListenableBuilder(
valueListenable: _range,
builder: (context, value, child) {
return Slider(
value: value,
onChanged: _onChanged,
);
},
)
],
),
),
);
}
}
이 Flutter 코드에서는 ValueNotifier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 컨트롤러의 값을 추적하고 UI에 반영하는 방식을 구현하고 있습니다. ValueNotifier는 값의 변화를 감지하고 관련된 리스너에게 알림을 보내는 Flutter의 상태 관리 도구입니다. 이 예제에서는 ValueNotifier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의 진행 상태를 Slider 위젯과 동기화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_range:
_range는 ValueNotifier<double> 객체로, 애니메이션 컨트롤러의 진행 상태를 추적합니다._range.value는 AnimationController의 value와 연동되어 애니메이션의 현재 진행 상태를 나타냅니다.애니메이션 컨트롤러와의 연동:
_animationController에 addListener를 추가하여 컨트롤러의 값이 변경될 때마다 _range.value를 업데이트합니다._range에 반영됩니다._onChanged 메서드:
_onChanged 메서드는 Slider 위젯에서 사용자가 슬라이더를 조작할 때 호출됩니다._animationController.value를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애니메이션 컨트롤러의 상태를 변경합니다.ValueListenableBuilder 위젯:
ValueListenableBuilder는 _range 객체를 감시합니다._range의 값이 변경될 때마다, ValueListenableBuilder는 자식 위젯을 다시 빌드하여 UI를 최신 상태로 유지합니다.Slider 위젯과의 연동:
Slider 위젯은 _range.value를 사용하여 현재 값을 표시합니다._onChanged 메서드를 통해 애니메이션 컨트롤러의 상태를 변경하고, 이는 다시 _range.value를 업데이트하여 UI에 반영됩니다.이 코드는 ValueNotifier와 ValueListenableBuilder를 사용하여 애니메이션의 상태를 UI 컴포넌트(여기서는 Slider)와 동기화하는 방법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접근 방식은 Flutter에서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애니메이션 상태를 효율적으로 연동하고, 사용자의 상호작용에 반응하는 동적인 UI를 만드는 데 유용합니다. 이 예제는 Flutter 개발자들이 애니메이션과 상태 관리를 더 깊이 이해하고 통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