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telliJ로 새로운 프로젝트 만들기를 하면 이러한 선택옵션이 뜬다.

Maven과 Gradle이란 무엇일까? 이 둘을 빌드 관리 도구 또는 빌드 도구라고 한다.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에서 소프트웨어 빌드(software build)는 소스 코드 파일을 컴퓨터나 휴대폰에서 실행할 수 있는 독립(standalone) 소프트웨어 가공물로 변환하는 과정을 말하거나 그에 대한 결과물을 일컫는다.
출처 : 위키백과
즉, 소스코드(java)와 프로젝트에서 쓰인 각각의 파일 및 자원(xml파일, properties파일, jar파일, 이미지파일)을 jvm이나 톰캣같은 WAS가 인식할 수 있도록 패키징하는 과정 또는 결과물이다.
빌드 관리 도구는 간단히 말해 빌드를 도와주는 도구이다. 우리는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는 동안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게 된다. 이때, 빌드 관리 도구는 우리가 직접 라이브러리를 관리하지 않을 수 있도록 라이브러리를 자동으로 추가 및 관리한다.
초기에는 Apache Ant가 주로 사용되었는데 요즘은 Maven과 Gradle이 많이 사용되고 있고, 찾아보니 스프링에서는 Maven을, 안드로이드나 스프링부트에서는 Gradle을 많이 사용하는 것 같다.
Maven은 Apache Ant의 대안으로 등장한 Java 기반 프로젝트의 라이프사이클 관리를 위한 빌드 도구이다. 빌드 중인 프로젝트, 빌드 순서, 다양한 외부 라이브러리의 종속성 관계를 pom.xml 파일에 명시한다.

Gradle은 Ant와 Maven의 장점을 결합한 빌드 도구로, JVM에서 작동하는 프로그래밍 언어인 Groovy를 사용한다. Maven과의 가장 큰 차이점은 XML 파일을 사용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스크립트 언어로 구성되어 있어 간단한 로직구현이 가능하다고 한다.
성능면에서 Gradle이 Maven보다 빠른 빌드 속도를 가진다고 한다. 아직까지는 Maven을 이용한 프로젝트가 대다수이지만 Gradle의 사용 비율이 점차 높아지는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