흔히 [www.google.com](http://www.google.com)
과같은 URL을 주소창에 입력하고 엔터를 누르면,
도메인 이름을 탐색한다.
먼저, DNS 서버에 접속한 후, www.google.com
의 IP가 무엇인지 요청한다. 그러면 DNS 서버는 요청의 대한 응답으로 216.58.197.196
을 리턴한다.
웹 서버(HTTP)에 요청한다.
도메인 이름을 찾았다면, 해당 웹 서버에 라우팅에 따라 요청을 한다. 해당 요청에 따른 응답으로 HTML및 JS파일과 같은 자원의 형태로 전달받는다. 전달된 자원을 브라우저에서 처리한다.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주로 HTML등의 문서를 주고 받는데 사용하는 프로토콜을 말한다. 주로 TCP/UDP 80번 포트를 사용한다.
URI 는 네트워크 상 자원을 가리키는 일종의 고유 식별자(ID) 이다.
URL 은 자원의 위치를 말한다.
주소창을 통해 하는 요청은 전부 GET Request이다.
GET - 특정 리소스를 가져오도록 요청한다.
POST - 데이터를 서버로 제출하는 용도로 사용하며, 서버의 변화를 일으킨다.
PUT - POST와 비슷하지만, 연속적인 요청시에도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기존 데이터를 수정하는 용도로 사용한다.
DELETE - 리소스의 삭제를 요청할 때 사용한다.
HTTP Request 문서는 크게 header와 body(optional)로 나눌 수 있다.
100번대 - 정보 응답
200번대 - 성공 응답
300번대 - 리다이렉션 메시지
400번대 - 클라이언트 에러 응답
500번대 - 서버 에러 응답
HTTP Response 문서는 크게 header와 body(optional)로 나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