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level3 - 야근지수 문제 설명 회사원 Demi는 가끔은 야근을 하는데요, 야근을 하면 야근 피로도가 쌓입니다. 야근 피로도는 야근을 시작한 시점에서 남은 일의 작업량을 제곱하여 더한 값입니다. Demi는 N시간 동안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하도록 일할 겁니다.Demi가 1시간 동안 작업량 1만큼을 처리할 수 있다고 할 때, 퇴근까지 남은 N 시간과 각 일에 대한 작업량 works에 대해 야근 피로도를 최소화한 값을 리턴하는 함수 solution을 완성해주세요. 제한 사항 works는 길이 1 이상, 20,000 이하인 배열입니다. works의 원소는 5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n은 1,0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풀이과정 일단 구해야 하는 야근 피로도는? 남은 일들의 작업량 제곱하여 더한 값 1시간에 작업량 1만큼 할 수 있고, n 시간 남아있다고 할 때, 최소 야근 피로도 구하는 문제 여기서 제곱의 합을 줄인다는 것은 가장 큰
📒 1강 왜 자료구조를 알아야 하는가? 파이썬의 기본적인 데이터 타입 만으로는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고, 문제들을 조금 더 효과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여러가지 자료구조들이 있다. 왜 알고리즘을 알아야 하는가? 문제마다 최적의 해법은 서로 다르다. 주어진 문제의 효율적인 해결을 위해 적절한 자료 구조와 연산 방법들을 선택해야한다. 📒 2강 - 선형 배열 (Arrays) 배열이란? 👉 원소들을 순서대로 늘어놓은 것 👉 파이썬에서는 list 자료형이 있고, 원소의 순서대로 0부터 매겨진 index가 존재한다. 연산 시간 소요가 길이와 무관한 연산: 맨 끝에 덧붙이거나 제외하는 append(), pop() 연산 --> 상수 시간 O(1) 리스트가 크면 클수록 오래 걸리는 연산 : 앞이나 중간 원소 삭제 혹은 삽입하는 insert(index, value), del(index) 연산 --> 선형 시간 O(n) 탐색
문제 해결 이 문제는 bfs로 풀면 간단한 문제다. 먼저 선입선출로 가장 빠른 길을 찾는 문제기 때문에 deque를 사용하여 구현한다. 그리고 한글자 차이인 단어를 찾아 차례대로 deque 에 넣고 바꾸고를 반복하며 원하는 단어가 나오는 가장 빠른 길을 찾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