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동계 모각코 2주차

강리아·2025년 1월 18일
0

2024 동계 모각코

목록 보기
2/5

오늘의 목표 : 자료구조 공부하기 (리스트, 튜플, 집합, 딕셔너리)

리스트란?

여러 가지 유형의 자료값을 한꺼번에 담을 수 있으며 순서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0, 1, 2...와 같은 인덱스를 이용해서 각각의 항목에 접근할 수 있다. 리스트 내부의 자료값은 인덱스를 이용하여 참조할 수 있으며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튜플이란?

여러 가지 유형의 자료값을 한꺼번에 담을 수 있으며 순서를 가지고 있는 순서형 자료구조이다. 리스트와는 달리 자료값을 변경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집합이란?

여러 가지 자료값을 한꺼번에 담을 수 있으나 순서가 존재하지 않고 중복된 자료값을 허용하지 않는다.

딕셔너리란?

딕셔너리는 키-값 쌍으로 저장되는 특징이 있다. 딕셔너리는 유일한 키를 통해서 값에 접근 가능하다. 딕셔너리의 키는 문자열, 정수, 튜플 등이 될 수 있다.

정리

리스트 구현

코드

num_list = [0, 1, 2] * 3
num_list

출력

[0, 1, 2, 0, 1, 2, 0, 1, 2]
# [0, 1, 2]가 3회 반복되어 저장됨

코드

primes = []		#소수를 담을 리스트 초기화
for n in range(2, 101):
	is_prime = Ture		#일단 n을 소수라고 두자
    for num in range(2, n):
    	if n % num == 0:	#n이 소수가 아닐 경우 is_prime을 False로 둔다
        	is_prime = False
    if is_prime:
    	primes.appned(n)	#소수로 판정된 n을 리스트에 넣자
print('2에서 100사이의 소수들 :')
print(primes)

출력

 2  3  5  7 11
13 17 19 23 29
31 37 41 43 47
53 59 61 67 71
73 79 83 89 97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