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부터 시작하는 KVM 공부 - 실습 환경 구축 < 가상 머신 생성 >
![post-thumbnail](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74994503-69d5-4ccb-a47e-6753ef21793e/image.png)
1. KVM 1 & KVM 2 가상 머신 생성
- Server with Gui 로 사용할 가상 머신 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b521a788-c36b-4db5-bd1d-229c4e821f15/image.png)
- CentOS 7 으로 설치하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40b8e992-70d9-4da5-8f86-5dde0df368fc/image.png)
- 이름을 KVM1 이라고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cb203292-7618-48a6-8528-2bb0163546d5/image.png)
- RAM 을 4 GB 사용하기로 했는데, 6 GB 로 늘려주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05c7e430-a493-4f67-a657-b8ad5fef3b5b/image.png)
- VT-X 는 꼭 CHECK 하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66117a98-cbb3-4009-b466-5f9b44e7de1d/image.png)
- 나머지는 다음과 같이 삭제 / 변경 해주자
- OK 를 누르고, 다시 Settings 에 들어와서 Network Adapter 를 추가해야 한다. 이는 순서가 바뀔 수 있기 때문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e0904e84-8fad-41a0-ab8f-ebf8fe9fbe9d/image.png)
- ADD 를 누르고, Network Adapter 를 2 개 추가해주자. 이는 Migration , Storage 연결용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1da404a3-778d-4c1a-84c8-0f4182f9e96d/image.png)
- 다음과 같이 설정하며, 반드시 2번이 3번 위에 있어야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fc070f8a-f853-4e49-907d-c46bab0a4c3a/image.png)
- 똑같이 KVM 2 가상 머신도 만들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e5ae687e-f098-4770-8590-36f3e02c3c6b/image.png)
- 최종적으로 다음과 같이 설정이 되야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bb6adbef-f0b1-47cc-8c80-f88bc16141e3/image.png)
- 동일한 설정의 두 가상 머신을 생성 했다
2. STORAGE 가상 머신 생성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57289c58-b519-47f4-a655-161db8ed6378/image.png)
- 이름을 STORAGE 로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50e884ec-b57b-4ed7-acfb-4a333bc31e94/image.png)
- 120 GB 로 설정한다
- STORAGE 는 외부에 공개되서는 안된다. 우리는 필요한 기능을 설치 후 외부와의 연결을 Shut Down 할 것 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266f87fd-0679-40a0-a1b6-92ee36697af8/image.png)
- CPU & RAM 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e8627786-0926-4e13-8dca-e485d551b849/image.png)
- 나머지는 위와 같이 설정한다
- 가상 머신 생성시 설정 Customize 를 같이 안하는 이유는 설정이 이상하게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성 후 부팅을 시키지 말고, 따로 설정을 해야 한다
3. 세부 설정 및 파티셔닝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8c5e980e-4c5c-42e5-abf5-71b32b1cb961/image.png)
- 위와 같이 DISK 파티셔닝 및 설정할 것 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3ff7a6c2-7205-498a-b735-84c4c00f0955/image.png)
- 3 개의 가상 머신 모두 실행하자. 위의 것으로 실행하면 된다. 언어는 English 로 하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1f1fb536-c376-4b3f-aca3-122c28022cc9/image.png)
- 시간은 Seoul 로 동기화 시키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83c84caf-d3fc-408a-a1aa-6d3caf36459b/image.png)
- KVM1 , KVM2 는 Server with GUI 이므로, 이를 설정해주자. Storage 는 Minimal 이므로 따로 설정하지 않아도 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e6265bda-fc9f-4a46-933f-5baf85d8fc98/image.png)
- KVM1, KVM2 는 DISK 를 AUTO 파티셔닝 할 것 이므로, 그냥 DONE 만 눌러주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aaf69ac3-a0bf-47cf-ac3a-ecde986762a3/image.png)
- Storage 는 직접 파티셔닝 할 것 이므로, 다음 설정을 누르고, DONE 을 눌러주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0d213816-b434-414f-8c2e-2de526ef6b27/image.png)
- SWAP 에 4 GB 할당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1848a4da-1ef6-4198-a307-ca5aedaf7e59/image.png)
- BOOT 에 1 GB 할당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b51bfa95-b391-4d50-96b8-fce8429dd85e/image.png)
- / 에 15 GB 할당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943c17d2-0563-44d5-9385-12f26e6b1d2e/image.png)
- 나머지는 /cloud 에 할당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a2f2689d-46c4-4337-9e0a-140be3ff77d8/image.png)
- 최종적으로 위와 같이 파티셔닝 해야 한다
4. Interface 설정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37c28054-b1c0-41d8-88f7-e1afd765f867/image.png)
- Host name 을 kvm1 로 설정하고, 각 ens 를 활성화 시켜서 네트워크 대역을 확인하자
- 32 는 211.183.3 대역, 33 은 172.16.1 대역, 34 는 172.16.2 대역의 IP 를 할당 받아야 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b0116cbb-6259-4b54-bc31-abd795ec46c1/image.png)
- 32 의 Configure 에 들어가서 다음과 같이 설정하자. 위에 Check 한 것 은 Linux 부팅시 자동으로 활성화 한다는 설정이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e4e9823b-8fa3-4d26-b205-ab7d351bc312/image.png)
- Ipv4 는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d5490737-263d-4718-829b-d7a9dca18f5d/image.png)
- 33 도 들어가서 설정해주자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a93eb17a-ea97-41b9-af1e-0ea2fb2f6217/image.png)
- 외부와 연결하지 않으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198039aa-7ed4-4c28-8e0b-0d2335adb67b/image.png)
- 34 도 마찬가지 이므로,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25a8f7b6-44f9-49d8-855c-35488b685d2f/image.png)
- 마지막, user 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자. root password 는 test123 이라고 설정하면 된다
![](https://velog.velcdn.com/images/lijahong/post/831976e3-2ba1-493e-9254-d4218c9b2099/image.png)
- KVM 1 설정이 끝났다. 이제 나머지 두 개의 가상 머신도 위 네트워크 설정을 보고, 각각 세부 설정 해주자
- ENS 32 는 인터넷 연결용
- ENS 33 은 스토리지 연결 및 마이스레이션용
- ENS 34 는 SSH 연결을 통한 관리용
- ENS 33 과 ENS 34 는 외부와 연결을 하지 않으므로, Default Gateway 주소 와 DNS Server 주소가 필요하지 않다
설정이 끝나면, 설치 및 Reboot 를 해주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