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황 ))
한빛미디어 혼공학습단 사이트에서 읽을거리 카테고리에 있는 '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지표'글 읽고 싶어~
요청 :client
request혼공사이트 읽을 거리 카테고리 내 '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지표'
toserver
응답 :server
respond to theclient
클라이언트의 요청과 서버의 응답이 있어야 원하는 사이트에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알아야 하는 것은 메시지를 주고받고자 하는 대상
과 송수신하고자 하는 정보
를 식별 할 수 있어야 한다.
메시지를 주고 받고자 하는 대상 : client
, server
--> 즉, 호스트를 파악해야 하는 데, IP 주소 이외에 호스트를 특정하는 정보인 도메인네임을 사용
송수신하고자 하는 정보 : 혼공사이트 내부에 있는'트래픽과 네트워크 성능지표' 글
--> 즉, 내가 찾고자 하는 정보를 식별하기 위한 URI 정보가 필요하다.
- 도메인 네임 : 호스트의 IP 주소와 대응되는 문자열 형태의 호스트 특정 정보
호스트의 IP주소는 언제든지 바뀔수 있고, 숫자 형식으로된 IP주소를 외우고 있는 것도 쉽지 않다. 그래서 기억하기 쉬운 문자열 형태의 도메인 네임이 호스트를 특정하기 위해 많이 사용된다.
- 네임 서버 : 도메인 네임과 IP주소를 관리하는 서버로 DNS 서버라고도 한다.
WWW.example.com.
- 자원(resource)란?
네트워크상의 메시지를 통해 주고받는 대상
html파일, 이미지, 동영상 파일 등
URI : Uniform Resource Identfier 자원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URL
: Uniform Resource Locator 위치
를 이용해 자원을 식별URN
: Uniform Resource Name 이름
을 이용해 자원을 식별 형식 :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갈 수록 더 구체적인 정보를 식별할 수 있음
foo:// www.eample.com:8042/ over/there ?name=ferret #nose
sheme
: 자원에 접근하는 방식
autority
: 호스트를 특정할 수 있는 정보로, IP주소 혹은 도메인 네임
path
: 자원이 위치한 경로, 슬래시(/)를 기준으로 계층적으로 표현
query
: sheme, autority, path 에서 더 나아가 특정한 단어나 정보를 검색할 경우 필요한 정보
: 물음표(?)로 시작되는 <키 = 값> 형태의 데이터
fragment
: 자원의 한 조각으로, 흔히 HTML 파일과 같은 자원에서 특정 부분을 가리키기 위해 사용
요청 라인 = 메서드 (공백) 요청 대상 (공백) HTTP버전 (줄바꿈)
💡 메서드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자원(요청 대상)에 대해 수행할 작업의 종류를 나타냄
💡 요청 대상
"http://www.example.com/hello?q=world" 로 요청 시
--> 요청 대상 : " hello?q=world "
"http://www.example.com" 로 요청 시
--> 요청 대상 : " / "
상태 라인 = HTTP버전 (공백) 상태코드 (공백) 이유 구문*(줄바꿈)
💡 HTTP상태 코드& 이유구문(상태코드에 대한 문자열 형태 설명)
요청에 대한 결과를 나타내는 세 자리 정수
HTTP 헤더 : HTTP 통신에 필요한 부가 정보
HTTP 헤더 = 필드 이름(헤더 이름) : 필드 값(헤더 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