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터디를 진행하며 학습한 것을 정리하기 위해 github에 내 폴더를 만들어서 정리하려고 한다.
gitHub에 들어가면 폴더를 만드는 곳이 따로 없고, 대신 /
이용해서 폴더 지정한다.
add file -> create new file
선택2.name your file에 폴더로 사용할 이름 적는다. 저는 test1이라고 정했습니다.
new test : 레파지토리명
Test1 : 폴더 명
review1 : 폴더 내부에 들어갈 파일 이름
commit Changes
클릭
commit 메세지 작성
완성
Test1 폴더 생성되었다.
Test1 내부에 또 다른 폴더를 만들어 보자.
1. Test1 폴더 내부로 들어간다.
2. add file -> Create new file
클릭
3. 똑같이 생성할 폴더 만든다.
그림 처럼 처음부터 Test1 폴더 내부에 Week1 폴더 내부에 reviews 파일 구조로 만들려고
파일 생성 이렇게 하면 결과가 이상하게 나온다.
폴더 내부에 폴더를 만들려면
일단 폴더 하나만 만들고, 그 다음에 내부에 들어가서 폴더를 다시 만들어 줘야 한다.
Test4/week1 폴더를 삭제해 보자
1. 폴더 내부로 들어가서 노란색 부분 클릭
delete directory
클릭
commit changes
클릭 -> commit message도 commit changes
클릭
commit changes
클릭
삭제되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