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18일 블로깅

임덤덤·2024년 3월 18일
0

SSR ( Server Side Rendering )

랜더링 작업을 서버에서 진행하고 클라이언트로 보낸 후 노출 하는 기법을 말한다

장점

검색엔진 최적화

CSR 방식은 모든 랜더링에 대한 과정(클라이언트가 HTML,JS등등을 받아오는 과정)을 끝내기 전까지 유저는 아무 화면도 보지 못하게 되는데, 이는 검색엔진이 해당 페이지를 미완성으로 생각하기 때문에 검색 결과에 노출되지 않는 상황이 발생한다

하지만

SSR 방식을 사용하게 되면 서버에서 랜더링이 모두 끝나서 브라우저에 넘어오기 때문에 초기 로딩속도가 빠르고 JS가 다운되는 동안에 User는 무언가든(로딩창이든 등등) 보고 있을 수 있다.

때문에

검색 엔진은 해당 페이지를 서칭하며 로딩되는 페이지 정보를 확인하고 검색결과에 노출 시키게끔 처리하게 되며 검색결과에 노출 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빠른 초기 로딩속도

SSR 방식은 서버측에서 랜더링 과정이 끝나서 클라이언트 측에 노출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기다리는 동안 어떠한 화면이 로딩되는 중이라는걸 볼 수 있다

이게 왜 중요해?

라고 생각 할 수 있겠지만 User가 브라우저에 머물러있는 시간의 차이가 있다
아무 화면도 보여지지 않으면 유저의 이탈율이 실제로 증가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중 하나가 SSR 방식이다.


CSR ( Client Side Rendering )

랜더링 작업을 클라이언트 측에서 진행 후 빈 페이지를 노출 하는 기법을 말한다

장점

User 경험

CSR은 클라이언트 측에서 데이터를 받아와서 렌더링을 진행 하기 때문에 페이지간의 이동이 빠르고, 이로서 오는 사용자 경험이 높다
한편으로는 객관적인 기준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이게 장점일까 싶은 생각은 드는편이다.

캐싱 가능

클라이언트에서 캐시를 사용하서 적은 양의 데이터만 다시 요청해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서버 부하

클라이언트에서 데이터를 처리하기 때문에 서버 부하가 적다.

profile
응애🐣 예비 개발자 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