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일 블로깅

임덤덤·2024년 3월 20일
0

네트워크

노드와 노드끼리 서로 통신을 할 수 있는 연결망의 형태를 네트워크라고 함

인터넷

네트워크에 포함되어있는 개념이고 현존하는 모든 네트워크중 가장 규모가 큰 네트워크중 일부

프로토콜

데이터가 서로 교환될때 교환에대한 방식을 정의하는 규칙

패킷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들의 덩어리, 네트워크 프로토콜, 장비의 정보등으로 되어있고 헤더,페이로드,푸터로 되어있음

  • 3계층 PDU를 패킷이라 부르는데 이는 데이터의 덩어리를 명칭하는 패킷과는 다름
    • 2계층 PDU = 프레임
    • 4계층 PDU 데이터에 CPT만 붙은 형태를 세그먼트라고 부름

캡슐레이션

여러 프로토콜을 이용해서 최종적으로 보낼 때 패킷을 만드는 과정
페이로드를 기준으로 헤더가 OSI 7계층 또는 TCP/IP 모델중 상위 모델이 올 수 없음
ex) [ HTTP ( 7계층 ) ][ ICMP(3계층) ][ 페이로드(2계층+1계층) ]

하지만 같은 계층은 올 수 있음
ex) [ IPv4 ( 3계층 ) ][ ICMP(3계층) ][ 페이로드(2계층+1계층) ]

디캡슐레이션

패킷을 받았을 때 프로토콜을 하나씩 확인 하면서 순수 데이터를 확인하는 과정
하위 프로토콜 부터 상위 프로토콜로 가면서 누가 나에게 보냈는지, 어떤 데이터를 보냈는지 무조껀 순차적으로만 확인이 가능함

TCP/IP

OSI 7계층 보다는 실무적인 느낌이 강함 ( 대부분의 패킷을 까보면 TCP/IP 형식 )
통신 규칙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고 프로토콜 스위트라고도 부름

OSI 7계층

TCP/IP 보다는 이론적인 느낌이 강함
국제 표준화 기구에서 표준으로 지정한 통신 규칙의 모음이라고 볼 수 있음

profile
응애🐣 예비 개발자 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