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i] GMX 정리

냐옹·2023년 7월 31일
0

Defi

목록 보기
1/11
post-thumbnail

개요

GMX플랫폼는 기본적으로 layer2인 아비트럼, 아발란체에서 동작한다.
GMX플랫폼에는 2가지의 토큰이 크게 존재하는데, GMX와 GLP이다.

토큰

GMX - 플랫폼의 거버넌스 토큰
GLP - 플랫폼의 인덱스 자산을 GLP로 스왑할 수 있다.

GMX스테이킹

여기서 얻을 수 있는 이익은 3가지
100GMX를 스테이킹한다고 하면 2가지의 자산을 받는다. esGMX, stGMX
에스크로된 ( 나중에 주기로 하고 유동성 풀에 추가한 ) GMX
비율이 정해져있고, 예를 들어서 30%라고 하면 30esGMX를 스테이킹 사용자에게 주고, 30GMX를 유동성 풀에 락업한다. 그리고 30esGMX를 다시 GMX로 바꿀 때 이율이 존재한다. 지금은 이율이 연 3.12%이다.

multiplier points

스테이킹한 기간에 따라서 점점 올라간다. 이는 3번의 ETH/AVAL 보상에 반영된다.
ETH / AVAL 보상
아비트럼에서의 거래에서는 수수료가 이더리움으로
아발란체에서의 거래에서는 수수료가 아발란체로 제공되는데 이 수수료들의 총합의 30%가 GMX를 스테이킹 한 사람들에게 분배된다. 전체 GMX대비 스테이킹한 GMX의 비율에 따라서 보상을 해주는데 2번의 multiplier points에 따라서 그 비율이 올라간다. 이것은 사용자를 플랫폼에 안정적으로 스테이킹에 잡아두려는 목적에 있으며, 그렇게 되면 유동성 풀이 안정적으로 되기 때문에 플랫폼의 거래에 있어서 거래가 안정적으로 슬리피지가 더 적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전체적으로 플랫폼의 안정화에 기여한다.

GLP

GLP는 GMX의 플랫폼에서 취급하고 있는 자산들을 GLP로 스왑할 수 있고, 나중에 GLP를 소각하면 다시 그 자산을 바꿔준다.
GLP를 소유하고 있게 되면, 플랫폼 수익의 70%를 GLP의 비율대로 분배받게 된다. 지금의 이율은 연 12.5%이다.
Keeper
GLP의 소유자는 keeper가 될 수 있다.

Floor price fund

플랫폼에서 나오는 수수료의 일부를 계속 떼어서 펀드를 조성한다. 이 펀드는 거래에 참여한 사용자들을 위한 보상 기금이다.

esGMX

다음과 같이 쓸 수 있다.
esGMX는 바로 GMX로 바꾸어주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이걸 가지고 있으면서 보상을 지속적으로 받는 것을 베스팅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서 esGMX의 이율이 연 10%라고 하면 esGMX를 10개 가지고 있으면 1년에 1개의 gmx를 받는다. 1년동안 주기적으로 받는다. 그리고 일정 기간이 지나면 esGMX는 실제 GMX로 바뀌게 된다. 유동성 풀에서 GMX를 빼서 주는게 아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