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동으로 의존관계를 설정
해 준다.@Component
어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Autowired
어노테이션을 확인으로 의존 관계를 연결해 준다.@Component
어노테이션을 포함한 다음 어노테이션도 스프링 빈으로 자동 등록된다.기본으로 싱글톤으로 등록
한다. 따라서 같은 스프링 빈이면 모두 같은 인스턴스이다.@Repository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
}
@Service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Controlle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private final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
수동으로 의존관계를 설정
해 준다.@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있으면 해당 class를 확인@Bean
어노테이션이 있으면 스프링 빈으로 등록객체를 생성하는 시점
에서 필요한 빈을 주입
한다.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빈 생성이 먼저
일어나고, 필드에 대한 주입을 수행
하는 것이다. @Autowired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ublic void setMemberController(MemberService memberService) {
this.memberService = memberService;
}
@Configuration
public class Spring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 memberRepository() );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 Reopsitory, Service class에 @Reopsitory, @Service 의 어노테이션을 지정하지 않음
- Controller는 @Controller가 있어야 함 이유는 스프링이 기동될 때 @Controller 어노테이션이 붙은 class를 확인 후 의존 된 컨포넌트들을 스캔하기 때문
📌 여담
📚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