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의 포트넘버로 도메인을 여러개 만들기 위해서는먼저아마 이렇게 생겼을텐데, Context path = " 이곳에 도메인 명을 적어주고 "docBase=" 이곳에 해당 도메인의 인덱스 HTML 경로를 적는다."설정 한 후, 톰캣을 다시 껐다 키면, 해당 도메인 사용 가
Get 과 Post 는, 웹에서 데이터를 넘길때 가장 많이 사용된다!(이 외에도 5가지 더 있기는 함. ( ex) delete, head, options, put, trace )하지만 무엇이 언제 쓰이는지가 중요하다.링크url에서, ?+(name)="value" 값으
웹페이지를 서비스할 때, 가장 많이 시간이 소요되는 부분이 바로 ' 데이터베이스를 로드하고 연결 ' 하는 시간.미리 만들어놨다가 필요할때마다 저장소에서 가져와 쓰고, 다시 반납하는 방법으로 사용하는'커넥션풀' 을 사용 할 필요가 있다.톰캣의 server.xml파일을 열
설정해주지 않으면 매번 적어야 한다.매우 번거롭다.그래서 Filter를 설정해주자!인코딩 타입을 설정하는 자바소스를 src에 먼저 저장한다. 내용은 아래와 같다.해당 루트폴더내의 web.xml 파일을 열어서, 아래의 필터태그를 추가해준다.이 태그들을 통해서, 아까 만들
원하는 데이터가 담긴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편리함!listresult 객체 안에 list를 담아버렸다.: rownum을 포함한 모든 컬럼값을 가져오기! 간단하게 짜기 위해서 서브쿼리로 해주고,Current page 와 Page size는 바뀔 것이므로, ? 표시
: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는 서버의 정보 (작은 단위, like 쿠키의 부스러기)\-크기 : 4kb 이하 (사이트별로)\-갯수 : 최대 300개, 넘으면 하나씩 지워진다.\-최대용량 : 1.2mb\-보안이 취약하며, 클라이언트가 사용 유무를 선택할 수 있음.\-도메인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