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2V - Vmware workstation to KVM

이근호·2021년 11월 29일
0

가상화 프로젝트

목록 보기
1/1

사전지식

  • 가상화 용어 및 운영 선수 지식 필요
  • 하이퍼바이저 or 가상화프로그램 운영을 경험해본 자

작업배경

  • Vmware Workstation에서 운영되는 인스턴스를 KVM 하이퍼바이저로 이관

사전체크 리스트

항목체크리스트
1리소스 증설 여부
2네트워크 연결 타입
3콘솔 연결 타입
4가상디스크 포맷 타입
5가상화 이전 방식 확인
6IP/MAC 주소 유지 필요 확인
7DHCP 설정된 네트워크인지 확인


구성도

  • 공유기에서 DHCP 서비스 운영중
  • Host (Windows , Centos7.9) 브릿지 네트워크로 연결
  • VM1 브릿지 네트워크로 연결

V2V 이관 프로세스

  1. VM1 인스턴스 이전
    1-1. VM1 인스턴스 저장 경로 이동후 모든 파일 압축
    1-2. VM1 인스턴스 압축파일 Centos7.9 서버에 업로드 및 압축 해제
  2. 인스턴스 변환 작업
    2-1. virt-v2v 명령어 이용한 인스턴스 변환 작업
    2-2. KVM 인스턴스 정보 편집
  3. KVM VM1 기동 및 설정
    3-1. VNC 클라이언트 설정 및 연결
    3-2. VM1 접속후 Linux Kernel 파라메터 수정
    3-3. KVM - VM1 console 연결

  1. VM1 인스턴스 이전

    1-1. VM1 인스턴스 저장 경로 이동후 모든 파일 압축

    1-2. VM1 인스턴스 압축파일 Centos7.9 서버에 업로드 및 압축 해제


  1. 인스턴스 변환 작업

    2-1. virt-v2v 명령어 이용한 변환 작업

    - virt-v2v -i vmx "VM1.vmx" -o libvirt -of raw -os VM -network br0 



    2-2. VM1 인스턴스 정보 편집

    • virsh list --all
    • virsh edit VM1
    • interface type=bridge 으로 설정
    • source bridge=br0 으로 설정
    • graphics type='vnc' port='5900' autoport='no' listen='0.0.0.0' 으로 설정 ( 위 설정은 5909번으로 해당 인스턴스의 VNC를 열겠다는 의미임 )


  1. KVM VM1 기동 및 설정

    3-1. VM1 기동

    • virsh start VM1

    3-2. VNC 클라이언트 설정 및 연결

    3-2. VM1 접속후 Linux Kernel 파라메터 수정

    • vi /etc/defualt/grub ( 아래 스크린샷과 같이 console=ttyS0 추가 )
    • grub2-mkconfig -o /boot/grub2/grub.cfg
    • "3-2" 절차가 완료 돼야 KVM 호스트 서버에서 VM 인스턴스간 Console 연결이 가능함 ( VNC만 사용할 경우 필요 없으나 운영상 설정 필요 )
    • reboot

    3-3. KVM - VM1 console 연결

    • virsh console VM1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