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주차 과제

Jin·2022년 6월 15일
0

연산자

  • 산술 연산자 (Arithmeric operator)
    수학적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 + - * / %
    두개의 피연사자를 가지는 이항 연산자
    피연산자들의 결합 방향은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단항 연산자(Unary Operator)

  • 비트 연산자(Bitwise operator)
    비트(bit) 단위로 논리 연산을 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

==, != 연산자는 reference type에서도 사용이 가능한데 해당 연산을 사용하면 주소값을 비교하기 때문에 객체가 다르면 false가 반환된다.
equals()함수를 쓰면 값을 비교할 수 있다.

  • 관계 연산자(비교연산자)
    왼쪽과 오른쪽의 피 연산잔자들의 크기 관계를 비교하여 참과 거짓을 가리는 연산자.
    미만 <
    초과 >
    이하 <=
    이상 >=
    참 또는 거짓 판별 ==, !=

  • 논리 연산자
    boolean 자료형으로 반환된다. 논리 연산자는 boolean type을 가지고 비교하는 것이 특징이다
    &&
    ||

  • instanceof
    참조변수가 참조핟고 있는 인스턴스의 실제 타입을 확인하여 boolean 자료형으로 반환 해준다. 확인하려는 인스턴스의 클래스가 특정 클래스를 상속, 구현하고 있다면 역시 true를 반환한다.

  • assignment(=) operator
    대입 연산자
    변수에 대입하는 대입 연산자
    e.g) int a = 10
    int형 변수 a에 10을 대입한다는 의미

  • 화살표(->) 연산자
    람다식에서 사용되는 연산자
    <람다식>
    메서드를 하나의 식(expression)으로 표현한 것
    메서드의 이름과 반환값이 없이 메서드를 표현할 수 있으므로 익명함수라고도 불린다

  • 3항 연산자
    유일하게 세 개의 항으로 만들어져 있는 연산자
    if else 구문을 간결하게 대체할 수 있는 연산자
    조건항?항1:항2
    e.g) isTrue(boolean)?true일 때 : false일 때
  • 연산자 우선 순위
  • Java 13.switch 연산자

출처 :
https://github.com/sombrero104/java-study/blob/master/w3.md

https://giyeon95.github.io/whiteship/whiteship_study_week03/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