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ld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Controller —> service —> repository —> db 순으로 데이터가 저장되고 조회되는 흐름을 보기
Entity / dto
/ repository 개념 다시 보기
3.15(월)
main class 부터 순서?? → 구현한 모든 API가 활성화 되고 request가 오는대로 해당 API가 실행 되는 것
'= new 주소값' 안해주는 이유는 스프링에서 @RequiredArgsConstructor를 붙인곳에 private final이 있으면 = new ~impl가 저절로 일어나는 것.
DI + IoC라는 개념. 스프링에서는 클래스를 Bean으로 관리해준다는 개념.
→ A라는 클래스가 있고, 여기에 B,C,D 클래스가 사용된다고 하면 B,C,D클래스를 생성해줘야 A클래스에서 사용이 가능하기때문에 B,C,D클래스 생성에 대한 권한을 스프링에게 넘겨서 A클래스에서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지금 단계에서는 new안쓰고 쓸 수 있는방법 + 메모리를 잘 관리하는 방법이라고 생각해두면 될듯.
Run 시
' Tomcat started Started' → 서버 활성화 된 상태 → postman으로 API호출
3.16(화)
postman 연동하다가 잘 안돼서 java 책
3.17(수)
/memo로 주소 똑같은데 어떻게 post, get 구분 되는지?
post할 때 MemoServiceImpl 18번줄, memoRepository는return값이 없는데 어떤걸 수행 한다는 건지?
디버그 체크 자리에 @
어디서 hibernate가 이루어지는지 모르겠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