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t → Postman → Post. Json.body → Controller Class → MemoRequest class → Memo Class → ServiceImpl Class → MemoRepository Class → 'Save' Method → DB에 저장 → MemoResponse
Post로 DB 저장할 때 @Requestbody 선언. column과 post할 content 연결시켜주는 역할 다하는 거라 더 해줄 거 없음
Service 측면에서 어떤 정보를 제공할지에 따라 API의 return type을 결정하면 됨.
e.g) Memo API에서 memo리스트를 전부 보여줄건지 아니면 post한 내용만 보여주고 get 메서드 실행 시 모두 보여줄건 지 등 service 개발자의 재량에 달림
DB는 한대의 컴퓨터에만 저장이 되어 여러 요청이 동시에 발생하면 부하가 걸림
→ 그래서 GET 메서드는 리드레플리카에서 조회하도록 갖춰놓음.
- Read Replica란 DB의 내용을 그대로 복사해서 GET만 할 수 있게 한 DB. Replication이라고도 함.
- Memo 수정기능 추가(Put/memo/{id})
- memo 1개 조회 기능 추가 (id값으로) (Get/memo/{id})
- @RequestBody에서 대소문자 구분? 얍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