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s에서 쓰이는 기본 타입들numberstringbooleanundefined -> 보통 let age: number | undefined;와 같이 쓰이고 단독으로 쓰이진 않는다.null: 거의 안쓰인다.unknown: any처럼 모든 타입을 받을 수 있지만 의미적으로
구직을 하면서 TS를 요구하지 않는 회사를 보기 어려웠다.급하게 TS를 익혀야 겠다고 생각하고 여러 블로그를 훑어보기 시작했으나, 이렇게 해서는 수박 겉핡기 밖에 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그러던중 엘리님의 TS강의를 보게 되었고, 무작정 클론코딩을 하라하지 않고, 먼저
image, video, note, task등을 추가하거나 삭제할 수 있다.이제 본격적으로 TS으로 리팩토링 해보려한다.글을 수정하거나, 자리를 옮기는것은 TS를 해보고 시간이 괜찮다싶으면 하려고 한다.마지막으로 module화도 할 수 있음 하고 영상을 마저 시청해야
깃헙으로 간단하게 배포이미지버튼을 누르고 이름과 url에 이미지 url을 넣으면 이미지 article하나가 생성된다.url을 비우고 입력하면 랜덤 이미지가 출력되도록 구현했다.비디오 버튼을 누르고 유튜브 주소를 넣으면 해당 비디오를 포함한 article이 생성된다.no
이 글은 엘리님 강의를 들으며 능동적으로 따라가려는 일련의 노력이다.현재 PageComponent에서 PageItemComponent를 class형태로 받아오는 것은, 굉장히 제한적으로 값을 받아올 수 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만약 DartPageItempComponen
이전 프로젝트를 TS로 돌리고 있는데,예전에 작성한 프로젝트라 그런지 어떤 데이터 타입들을 썼는지 기가막히게 기억이 안난다.그리고 백엔드랑 미묘하게 다른 타입들 때문에 코드도 안 예쁘고, 시간도 더 오래걸리는 느낌이다.....requestHeader에 타입을 지정하기
왜 스프레드 문법으로 객체 생성이 안되나 했는데, 컴포넌트에서 해당 state값에 초기값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으로 내뱉는 에러인 듯 하다.보고나니 맞는 말 같긴하다..초기 값이 없으면 내부 속성값들이 전부 undefined형태인데 거기에 배열도 있으니 뭔가 안될만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