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덕스 왜 씀?

깃재혁·2022년 4월 10일
0

리액트의 데이터 flow는 위에서 아래로 흐르는 단방향 구조이다.

자식컴포넌트는 부모컴포넌트의 상태나 데이터를 프롭스로 전달을 받는다.

하지만 지금까지 작업했던것처럼 컴포넌트의 depth가 1,2 이면 문제가 되지 않는데 수백개 수천개의 컴포넌트로 만들어진 구조이면 최상단에서 최하단으로 프롭스를 전달해주는것이 어려워진다.

그래서 스토어라는 중간자를 컴포넌트 구조 밖에 두고 사용하면서 상태를 업데이트 하거나 새로운 상태를 전달받는다.

리덕스를 사용하면 상태값을 컴포넌트에 종속시키지 않고 상태관리를 바깥에서 할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씀.

그래서 리덕스 어떻게 씀?

어떻게 쓰는지는 예시를 들어보겠다.

profile
안녕하세요 앞으로 멋져질 프론트개발자 임재혁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