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러개의 프로세스가 시스템 내 존재
자원을 할당 할 프로세스를 선택해야함
자원관리
- 시간 분할(time sharing) 관리
- 하나의 자원을 여러 스레드들이 번갈아 가며 사용(ex 프로세서)
- 프로세스 스케줄링(Process scheduling)
- 공간 분할(space sharing) 관리
- 하나의 자원을 분할하여 동시에 사용(ex 메모리)
스케줄링의 목적
시스템의 성능(perfomance) 향상
대표적 시스템 성능 지표
- 응답시간 : 요청부터 응답 받기 까지의 시간
- 작업 처리량 : 단위 시간동안 완료된 작업의 수
- 자원 활용도 : 주어진 시간(T) 동안 자원이 활용된 시간
목적에 맞는 지표를 고려하여 스케줄링 기법을 선택
대기시간, 응답시간, 반환 시간
- 대기시간 : 도착해서 실행하기 전까지
- 응답시간 : 도착해서 첫 출력하기 전까지
- 실행시간 : 실행시작 부터 실행 종료까지
- 반환시간 : 도착부터 실행 종료 까지
스케줄링 기준
- 스케줄링 기법이 고려되는 항목들
- 프로세스의 특성, 시스템 특성, 프로세스 긴급성, 우선순위, 총 실행 시간 등
CPU burst vs I/O burst (프로세스 특성)
- 프로세스 수행 = CPU 사용 + I/O 대기
- cpu 사용이 더 많으면 compute-bounded
- I/O가 더 많으면 I/O bounded
스케줄링 레벨
Long-term Scheduling
job scheduling : 시스템에 제출(kernel에 등록)할 작업(job) 결정
- 다중프로그래밍 정도(degree) 조절 : 프로세스 수 조절
- 프로세스들(compute, I/O)을 잘 섞어서 선택 -> 프로세스들이 모두 일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 시분할 시스템에서는 덜 중요하다.
Mid-term Scheduling
메모리 할당 결정 : long-term 보다 자주 사용
Short-term Scheduling
Process scheduling : processor를 할당할 프로세스를 결정
📌스케줄링 정책(Policy)
선점 vs 비선점
- Non-premmptive 비 선점
- 할당 받을 자원을 스스로 반납할 때까지 사용
- Context Switch Overhead가 적음 | 잦은 우선순위 역전(우선순위가 높아도 기다려야 함), 평균 응답시간 증가
- premmptive 선점
- 타의에 의해 자원을 뺏김
- Context swtich overhead가 큼, 시스템 부하가 큼
- 시분할 시스템, real-time 시스템 등에 적합 => 응답성이 높음
우선순위
- 프로세스의 중요도
- static priority(정적 우선순위)
- 프로세스 생성시 결정된 priority가 유지 됨
- 구현이 쉽고, overhead가 적음 ↔ 시스템 환경 변화에 대한 대응이 어려움
- Dynamic priority(동적 우선순위)
- 프로세스 상태 변화에 따라 priority 변경
- 구현이 복잡, priority 재 계산으로 overhead가 큼 ↔ 시스템 환경 변화에 유연한 대응 가능
📌비선점 스케줄링
FCFS(First-Come-First_Service)
- 스케줄링 기준 : ready queue 도착 시간
- 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 가능 (스케줄링 오버헤드가 낮음, 계속해서 사용 가능함)
- 일괄처리 시스템에 적합 ↔ 대화형 시스템에 부적합
- 단점: 긴 평균 응답시간, 다른 프로세스들이 긴 대기시간을 갖게 됨, convoy effect
- 걸린시간(종료시간-도착시간)/필요시간
SJF(Shortest Job First)
- = SPN(Shortest Process Next)
- 스케줄링 기준 : burst time 기준(작으면 우선순위 높음)
- 장점: 평균 대기시간(WT) 최소화, 시스탬 내의 프로세스 수 최소화(부하감소, 메모리 절약 ➡ 시스템 효율 향상), 많은 프로세스들에게 빠른 응답 시간 제공
- 단점: Starvation(기아, 무한대기)현상 발생, BT가 긴 프로세스는 영원히 할당 받지 못 할 수 있음(Aging으로 해결), 정확한 시간 예측 불가
- SRTN
- spn의 변형, 장점 극대화
- 선점 스케줄링 (실행 시간이 더 적은 프로세스가 준비되면 선점 됨)
- 프로세스 생성시, 총 실행시간(BT) 예측이 필요함 + 잔여 실행을 계속 추적 ➡ 부하가 큼
- 구현 및 사용이 비현실적
HRRN(High-Response-Ratio_NEXT)
- SPN의 변형, SPN + Aging concepts, 비선점
- Aging concepts
- 프로세스의 대기시간(WT)을 고려하여 기회를 제공
- 스케줄링 기준 : Response-Ratio가 높은 프로세스 우선
- Response ratio = (WT+BT)/BT(응답률)
- SPN의 장점 + Starvation 방지
- 실행시간 예측 기법 필요 (overhead 증가)
📌선점 스케줄링
Round-Robin
- 스케줄링 기준 : 도착시간
- 자원 사용 제한 시간이 있음
- System Parameter
- 프로세스는 할당된 시간이 지나면 자원 반납
- 특정 프로세스의 작원 독점 방지 ↔ Context switch overhead가 큼
- 대화형, 시분할 시스템에 적합!
- Time quantum 이 시스템 성능을 결정하는 핵심 요소
- 제한 시간이 매우 크면 FCFS가 됨
- 제한 시간이 매우 짧으면 프로세서를 동시에 사용하는 느낌 -> 실제 성능의 1/n
- high context switch overhead
MLQ(Multi-level queue)
- 작업(or우선순이)별 별도의 ready queue를 가짐
- 최초 배정 된 queue를 벗어나지 못함
- 각각의 queue는 자신만의 스케줄링 기법 사용
- Queue 사이에는 우선순위 기반의 스케줄링 사용
- 우선순위가 높으면 빠르게 처리 ↔ 여러 개의 queue 관리 등 스케줄링 overhead, 우선순위가 낮은 queue는 기아현상 발생
- 우선순위가 낮은 큐들이 실행 못하는 걸 방지하고자 각 큐마다 다른 Time Quantum을 설정 해주는 방식 사용
MFQ(Multi-level Feedback queue)
- 프로세스의 Queue간 이동이 허영된 MLQ
- Feedback을 통해 우선 순위 조정
- 프로세스에 대한 사전 정보 없이 SPN, SRTN, HRRN 기법의 효과를 볼 수 있음
- 단점: 설꼐 및 구현이 복잡, 스케줄링 overhead가 큼, 기아현상
변형
- 각 준비 큐마다 시간 할당량을 다르게 배정
- 프로세스의 특성에 맞는 형태로 시스템 운영 가능
- 입출력 위주(I/O) 프로세스들을 상위 단계의 큐로 이동, 우선 순위 높임
- 프로세스가 block이 되면 상위 큐로 진입
- 시스템 전체 평균 응답시간을 줄이고 입출력 작업을 분산 시킴
- 대기 시간이 지정된 시간을 초과한 프로세스들을 상위 큐로 이동 (Aging)
https://youtu.be/EdTtGv9w2sA [Course] Operating System (CPA310) - 운영체제 강의. HPC Lab. KOREATE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