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 함수
함수 : 일련의 과정을 문으로 구현, 코드블록으로 감싸 실행단위로 정의. 다른언어와는 달리 JS 함수는 객체타입임
함수를 만들때 역할 1개만 주도록 해야하고, 매개변수는 3개 넘지 않는게 이상적임.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함수 선언문을 해석해 함수 생성.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생성된 함수 호출 위해 함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식별자 암묵적 생성, 함수 객체 할당한다. 결국 함수는 함수 객체를 가리키는 식별자로 호출함.

즉시 실행함수 : 함수 정의와 함께 즉시 호출 되고, 한번만 호출되고 다시 호출 불가능함. ( )로 감싸서 사용하고 괄호 안의 함수는 함수리터럴로 평가되어 함수 내에서만 참조할수있는 식별자임. 그래서 재호출은 불가능.
13 스코프
- 스코프: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
Var키워드는 같은 스코프내에 중복 선언 허용됨 (변수값 재할당되어 변경되는 부작용있음) 반면, Let, const는 스코프내에 중복선언 허용하지 않음
변수 선언시 식별자가 키로 등록되고, 변수 할당이 일어나면 식별자의 값을 변경한다.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따라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해서 상위 스코프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렉시컬환경 : 코드가 로드되면 곧바로 생성되고 함수의 랙시컬 환경은 함수가 호출되면 곧바로 생성된다.
동적 스코프 : 함수를 어디서 호출 했냐에 따라 상위 스코프 결정
렉시컬스코프(정적스코프) : 함수 정의를 어디서 했냐에 따라 상위 스코프 결정
14 전역변수 문제점
변수의 생명주기는 메모리 확보 시점부터 메모리 공간 해지되어 가용 메모리풀에 반환되는 시점까지이고, 전역변수의 생명주기는 애플리케이션 생명주기와 같으나, 지역변수는 함수가 종료하면 소멸된다.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지역함수는 함수가 생성한 스코프에 등록되는데 누군가가 스코프 참조하고 있으면 지역변수 지만 함수 보다 오래 생존한다.(클로저)
var 로 선언한 변수는 객체의 프로퍼티가 됨. 이는전역 변수의 생명 주기가 전역객체의 생명 주기와 일치하다는 것을 말함.
전역변수의 문제점
- 암묵적 결합 : 모든 코드가 전역변수를 참조하고 변경할수 있음. 변수의 유효범위가 크면 클수록 가독성 나빠지고 상태 변경 위험
- 긴 생명주기 : 메모리 리소스도 오래 소비함. 또, 변수이름 중복이 되면 의도치 않은 재할당이 이루어질수도..
- 전역 변수 검색 속도 느림. 스코프 체인상에 종점에 위치해, 검색할떄 전역 변수가 가장 마지막에 검색됨
- 네임스페이스 오염 : 파일 분리 되어있어도 하나의 전역 스코프 공유. 다른 파일내에서 동일한 이름으로 명명된 변수나 전역 함수가 같은 스코프내에 존재시 예상치 못한결과 가져올수 있음
-> 전역변수 무분별한 사용 줄이기..
전역변수 무분별한 사용 줄이기 위한 방법 4가지
- 즉시 실행함수 사용하기 : 함수 정의와 동시에 호출되는 즉시 실행 함수는 단 한번만 호출됨. 그래서 모든 코드를 즉시 실행함수로 감싸면. 즉시 실행 함수의 지역변수가 됨
- 네임스페이스 객체 : 역할을 담당할 객체를 생성하고 전역변수처럼사용하고 싶은 변수를 프로퍼티로 추가. (식별자 충돌을 방지하나,, 네임스페이스 객체 자체가 전역 변수에 할당되어 그렇게 유용하진않음)
- 모듈패턴 전역변수 억제, 캡슐화 구현 가능 - 클로저를 기반으로 동작함
- ES6 모듈 사용- 독자적인 모듈 스코프 제공. Script태그에 type= ‘module’ 어트리뷰트를 추가하면 자바스크립트 파일은 모듈로서 동작함.. 확장자는 mjs. 207p ES6는 구형 브라우저에 동작 안함. 쓰게 되면 트랜스파일링이나 번들링 해야해서, webpakc등의 모듈 번들러를 사용하는게 일반적.
15 let, const 키워드,블록레벨 스코프
let
- 변수중복 선언 금지
- 블록 레벨 스코프를 따름. (함수, if 문, for문, while문, try catch 문 등)
-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것 처럼 동작함. 즉, 선언단계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됨. 런타임 이전에 암묵적으로 선언 단계가 실행되고, 변수 선언문에 도달하면 초기화 됨 초기화 전에 접근하려고하면, is not defined라고 나옴 이때를 일시적 사각지대라고 함.
const
- Const로선언한 변수는 선언과 동시 초기화 되어야함 아니면 문법 에러 발생
- 블록레벨 스코프를 따름
- 재할당 금지
- 일반적으로 상수이름은 대문자로 표기 _ 랑함께 스네이크 케이스로 표기하는게 일반적
- Const에 선언된 변수에 원시값 할당하면 값 변경이 안되는데 const선언된 변수에 객체 할당할 경우 값 변경 가능
- Const는재할당 금지할분 불변을 말하는것은 아님. 프로퍼티 동적 생성 삭제 프로퍼티 값 변경을 통해 객체 변경 가능. 이때 객체 변경되더라도 할당된 참조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위 포스팅은 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학습하면서
공부한 내용을 적은 글입니다.
자세한 내용은 책을 참고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