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롭테크 스타트업에서 근무를 시작하고 정신없이 3달정도가 흘러갔습니다. 프롭테크 도메인에서 첫 분석가로서 일을 하며, 느낀 것중 하나가 공간데이터 활용을 잘하면 엄청난 효율과 정말 다양한 분석을 해볼 수 있다는 것입니다. 사실 (제가 구글링이 딸리는 것일수도 있지만..
공간데이터를 다루는데 있어서 알아야 할 파일데이터 타입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습니다.ShapeFile가장 많이 사용하기도 하며 최소한으로 조합되어야 하는 파일은 아래와 같다.shp : Geometry 도형 정보shx : Geometry를 빠르게 찾을 수 있는 인덱스db
공간데이터 벡터의 세가지 형태인 Point(점), LineString(선), Polygon(면, 다각형) 을 다루어 보았습니다. 먼저 사전에 설치해야할 라이브러리는 2가지로 geopandas와 shapely입니다. 공간데이터를 다루는 사용하는 geopandas와 원
코딩을 하는 사람이라면 dict형태로 이루어진 Json이라는 파일 형태를 알것이다. 지리정보, 공간데이터 공부를 시작하면서 GeoJson이라는것을 알게되었고 가장 기초가 되는 부분이기에 짧게 적어보았다.지리정보 즉, 공간데이터를 이러한 dict형태로 Json파일을 만든
먼저, 여기서 말하는 패키지 의존성은 하나의 패키지가 가지고 있는 다른 패키지와의 의존관계를 말한다.공간데이터를 사용하기 위해서 Geopandas, fiona, shapely등등 이러한 패키지를 다운받게 되는데, 해당 패키지 들은 사용자들의 실행 환경과 패키지들 간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