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터는 삽입손실있음
삽입손실이 적을수록 Duplexer 품질 좋은것
quility factor, Q값이 클수록, 공진시 에너지 축적률 커짐(진폭)
w0/BW라서 주파수 선택도 좋아짐
주파수 영역에서 근접해있는 희망 신호/채널과 불필요 신호/채널을
얼마만큼 잘 분리(분해)할 수 있는 능력
회로 시스템이 특정 주파수에 대해 얼마나 잘 응답하고, 그 밖의 주파수에서는 응답하지 않는가를 나타냄
일반적으로 수신기의 선택도는,
- 중간주파수 증폭기의 선택도 능력에 의해 결정됨
. RF 단에서 직접적으로 날카로운 RF 필터를 구현하기 어려움
- 따라서, 높은 주파수를 그대로 쓰지않고 중간주파수(IF)를 사용 ☞ 슈퍼헤테로다인 참조
. IF를 낮게 하는 이유는, 낮은 Q(양호도)로도 충분한 선택 성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임
. 한편, RF 단의 높은 주파수에서는, 예리한 차단주파수 특성을 갖는 필터 구현이 고가임
ㅇ 인접 채널 선택도 ☞ ACPR, ACLR 참조
- 원하는 실제 수신 채널과 인접 채널 즉 간섭원 간의 분리(Isolation) 능력
- 선택도 = (수신 채널 신호 전력) / (인접 채널 전력)
Q 값
및 대역 필터링(Filtering)
관계
- Q < 1 : 광대역 필터 회로
- Q > 1 : 협대역 필터 회로
- Q ≥ 5 : 고 Q 회로(high-Quality circu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