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6.15 TIL (변수,타입,함수,조건문)

ljy·2021년 7월 16일
0

JAVASCRIPT

목록 보기
1/11

변수 학습목표

변수 Intro

  • 프로그래밍은 데이터 처리를 하는 것임을 이해한다.
  • 변수 사용은 데이터를 편리하게 저장하고 꺼내 쓰는 것임을 이해한다.
  • 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에 대해서 설명하고 코드로 작성할 수 있다.
  • 값으로 변환된 표현문이 변수에 할당되어 담기는 과정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

변수 기초, 변수 실습

  • 자바스크립트에서 변수의 선언과 값의 할당에 대해서 설명할 수 있다.
  • 변수 선언과 값 할당에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서 정확하게 알 수 있다.
  • =가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할당연산자임을 이해할 수 있다.
  • num = num + 1이 "같다"라는 의미가 아니라 값을 할당하는 것임을 설명할 수 있다.

표현식이란?
값으로 표현 될 수 있는 모든식을 표현식이라고 한다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방식

ex1) let thing = '두루마리 휴지',
    num = 3;

ex2) let thing = '두루마리 휴지';
	let num = 3;

ex1 같이 let 키워드를 한번만 사용하고 쉼표(,)를 활용해서 변수에 값 할당을 할 수 있다

ex2 같이 각 변수마다 키워드를 사용해서 값을 할당 할 수 도 있다 할당을 하면 끝에 세미콜론(;)을 붙여준다


함수 선언식,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함수 선언식

function getRectangleArea (width, height) {
  let rectangleArea = width * height
  return rectangleArea
}


함수 표현식

let getRectangleArea = function (width, height) {
  let rectangleArea = width * height
  return rectangleArea
}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 1)

let getRectangleArea = (width, height) => {
  let rectangleArea = width * height
  return rectangleArea
}

함수 표현식 (화살표 함수 - 2)

let getRectangleArea = (width, height) => width * height

함수 표현식은 변수를 선언하고 변수에 익명함수를 할당한다
화살 표함수는 변수를 선언하고 function 키워드를 화살표(=>)로 축약해서 표현한 익명함수를 변수에 할당한다


화살표함수의 특징

  • 함수의 본문(body)에 return 문만 있는 경우 return과 중괄호를 동시에 삭제 할 수 있다
let getRectangleArea = (base, height) => base * height / 2;    // 정상작동
let getRectangleArea = (base, height) => { base * height / 2 }  
//return 문은 생략했으나  중괄호를 생략하지 않았기 때문에 undefined 리턴
  • return 문에서 소괄호를 사용할 수 있다
let getRectangleArea = (base, height) => ( base * height / 2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