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RWA

임형석·2023년 12월 7일
0

Research



RWA 란?

RWA는 실물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서 거래할 수 있도록 디지털 토큰화하는 개념입니다.


부동산, 주식, 채권 그리고 예술품 등 다양한 실물 자산을 토큰으로 변환하고 거래할 수 있게 하여 기존 시장의 비효율성을 해소합니다. 이는 블록체인 기술이 만들어내는 금융의 한 분의 발전으로 온라인에서도 투명하고 효율적인 거래가 가능해졌습니다. 이러한 기술적 진보를 통해 오프체인에 존재하는 다양한 자산을 블록체인 상에서 신속하게 거래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RWA는 실물 자산의 토큰화가 이뤄져 실물 자산의 가치와 직접 연계하여 거래할 수 있으며, 자산 거래와 관리가 투명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에게 더 나은 정보를 제공하고 자산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금융 시장의 성장 가능성도 열어주었습니다.


RWA 토큰은 쓰임새에 따라 ERC20, 721,1155 등으로 발행할 수 있습니다.
만약, 가치가 높아 개인이 구매할 수 없는 부동산이나 미술품 등을 투자하고 싶다면 ERC20 이나 1155 로 토큰을 발행하여 다수가 함께 구매하는 조각투자로 높은 가격으로 인해 생기는 유동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복잡한 거래 방식을 간단하게 바꿀 수 있습니다.

또한 부동산 소유권, 미술품 소유권 등은 단일 토큰인 ERC721 로 발행하여 디파이 플랫폼에서 담보로써 사용하여 가상자산을 빌릴 수 있고, 반대로 가상자산을 담보로 부동산이나 미술품을 임대할 수도 있습니다.

사진과 같이 ERC 20 을 기준으로 업그레이드 하여 만든 RWA 와 관련된 새로운 토큰 표준들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RWA 는 자산의 유동성과 활용도를 높일 뿐만 아니라, DeFi 시장에도 새로운 유형의 자산을 도입함으로써 다양한 금융 서비스를 블록체인을 통해 제공하여 유동성이 부족한 자산이나 진입장벽이 높은 자산도 쉽게 거래할 수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STO, RWA 의 차이점

STO 는 증권형 토큰이라는 뜻으로, 자산을 토큰화한다는 점에서 RWA 와 유사합니다.

RWA는 주로 퍼블릭 블록체인을 기반으로 동작하며, 디파이에서 사용됩니다. 반면 STO는 주로 프라이빗 블록체인 기반에서 동작하여 기존의 금융 시스템을 배경으로 제도화·중앙화 되어있다는 점이 특징입니다.

따라서 STO는 자본시장법상 증권에 해당해 금융당국의 직접적인 규제 하에 놓여 있으며, STO 는 토큰화되는 자산이 증권 상품으로 한정되어 있다 보니 규제하는 주체와 해당 토큰이 받게 되는 규제가 증권과 동일합니다.


지난 2018년에 STO 가 유행했는데, 지금 STO 와 비슷한 분야인 RWA 가 흥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첫 번째로, 2020년 부터 디파이가 유행하며 탈중앙화 금융 시스템이 크게 발전했습니다. 더불어 오프체인 데이터를 온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오라클 서비스도 크게 발전하는 등 블록체인 디앱의 인프라가 전반적으로 크게 발전했습니다.

두 번째로, 최근 크립토 윈터와 미국 금리 상승으로 인해 디파이의 수익률이 크게 하락하였고, “무위험 이자율” 로 불리는 미국 국채보다 낮은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많은 디파이 프로젝트가 암호화폐 세계를 넘어 현실세계로 초점을 옮기고 있습니다.



메이커다오

메이커다오는 이더리움 기반의 탈중앙화 자율 조직으로, 목표는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 다이를 생성하고 관리하는 것입니다.

다이는 현재 미국 달러와 1:1로 페깅되어 있으며, 스마트 컨트랙트와 알고리즘을 활용하여 가치를 안정화 시킵니다. 유저는 이더리움을 담보로 활용하여 다이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현재 다이의 총 공급량은 약 46억 개이며, 메이커다오는 총 공급 한도를 62억 다이로 설정되어있습니다. 다이를 뒷받침하는 담보물은 RWA 를 포함해 여러 스테이블 코인 등으로 다양화되어 있습니다.

메이커다오는 단일 담보의 문제를 경험하며 담보 다변화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목표는 탈중앙화 스테이블 코인을 형성하고, 암호화폐 시장의 높은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해 다양한 담보물을 활용하고자 RWA(Real World Assets)를 도입했습니다. 이를 통해 메이커다오는 변동성에 강한 안정적인 스테이블코인을 보다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으며, RWA의 도입을 통해 다양한 현실 세계 자산을 활용함으로써 메이커다오는 안정성을 확보하고 시장의 불확실성에 대비하며 디파이의 영향력을 확장시키고자 합니다.


현재 메이커다오의 RWA 관련 프로젝트는 8개이며, TVL 은 27억달러에 달합니다.


오른쪽 중앙의 남색은 메이커다오 수익을 나타내는 그래프입니다. 이 중에서 남색으로 보이는 실물자산의 수익이 전체의 71% 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지난 6월, 메이커다오는 제안을 통해 다이의 수익률을 1%에서 3.49%로 인상하여 보유자들에게 매력적인 수익을 제공했습니다. 그리고 이 수익의 원천은 RWA에서 나오게 됩니다.


메이커다오의 RWA는 신탁을 통한 자산의 직접 구매와 센트리퓨즈 라는 프로토콜을 통한 토큰화된 RWA 구매입니다. 간단하게 센트리퓨즈에 대해 알아보자면,

센트리퓨즈는 실물자산 분야에서 현재 Active Loan 기준 1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센트리퓨즈는 탈중앙화된 대출 플랫폼으로, 스마트 컨트랙트를 제공해 불필요한 중개자를 없애고 RWA 자산의 탈중앙화된 자금 조달을 위한 투명한 시장을 조성합니다. 기업의 차입 비용을 절감함과 동시에 디파이 사용자에게 안정적인 RWA 담보 수익을 제공합니다.

현재 메이커다오는 센트리퓨즈 플랫폼에서 부채를 주로 구매하고 있습니다.

사진은 센트리퓨즈의 RWA 담보 대출의 과정입니다.

차입자는 RWA 를 담보로 제공하며, 검증자는 이 담보를 검증하고 스마트 컨트랙트로 구성된 풀에서 담보를 NFT 로 발행한 후, DAI 를 차입자에게 빌려주는 형태입니다.

센트리퓨즈 뿐만 아니라, 다른 RWA 대출 플랫폼도 이러한 방식으로 실물 자산 담보를 검증하고 스테이블 코인을 제공하는 방식을 사용합니다.

센트리퓨즈는 RWA를 직접 구매하고자 하는 프로젝트나 사용자를 위해 마켓플레이스를 제공하여, 일반적인 스테이블 코인의 수익률에 비해 높은 수익을 제공하면서도 자산을 온체인에서 사용할 수 있게 됩니다.

TVL 기준 1,2,3,7위가 모두 메이커다오의 풀입니다.

풀을 확인해보면 실물자산이 NFT 로 발행되어 하나의 풀에서 관리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체인링크 CCIP

체인링크는 탈중앙화 오라클 서비스로 체인 외부의 데이터를 이더리움 체인의 스마트 컨트랙트에 제공합니다. 즉, 블록체인과 현실을 연결하는 것입니다.

체인링크의 프로덕트 중 하나인 CCIP는 cross chain interoperability protocol 로, 상호운용 가능한 크로스체인 프로토콜을 뜻합니다.

체인링크 랩스가 국제 금융 표준 통신망 SWIFT와 2017년부터 공동으로 개발한 크로스체인 솔루션으로 하나의 앱이 여러 체인에서 상호작용하여 동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체인링크는 CCIP를 인터넷의 TCP/IP에 비유합니다. 과거 파편화 되어있던 인터넷 네트워크를 TCP/IP라는 통신 프로토콜이 표준화를 했다면, CCIP 또한 파편화된 블록체인을 하나로 잇는 기술이라고 표현합니다.

CCIP는 전통 금융권과 긴밀한 협력을 통해 표준화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이미 5년 전에 SWIFT 를 통해 시작되었으며, 최근에는 유명 은행 및 미국의 금융 중개기관의 협업을 통해 블록체인 연결을 실험하고 있습니다.
이는 은행들의 자체 프라이빗 블록체인과 이더리움, 폴리곤 같은 퍼블릭 블록체인과의 연결을 CCIP를 통해 시도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CCIP는 웹2와 웹3 통신의 표준이 되고자 합니다. 웹3 생태계에서 이미 확보한 고객을 기반으로한 경쟁력이 기대되며, 웹2와의 연결은 RWA 와 같은 현실세계의 자산, 그리고 금융시장과의 접목으로 블록체인의 대중화를 기대해볼 수 있습니다.



정리

RWA(Real World Asset) 토큰은 여러 문제점도 있습니다.

지역별 규제의 불명확성, 자산 평가의 어려움, 기술 및 플랫폼 리스크 등이 문제점으로 존재합니다.

지역별 규제 차이로 인해 규제 프레임워크의 부족과 불명확성이 발생하면, 성장이 제약될 수 있으며, 자산 평가의 어려움은 비유동성 자산의 정확한 가치 평가가 어렵다는 것을 의미하며, 가치 평가 방법을 개발하는 필요성이 있습니다.

위와 같이 실물 자산의 토큰화는 자산 평가, 보관, 규제, 기술 등 다양한 측면에서 고려되어야 하는 복잡함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RWA는 탈중앙화 금융의 미래에서 큰 가능성을 지닌 분야입니다.

보스턴 컨설팅 그룹의 분석에 따르면, 글로벌 비유동성 자산의 토큰화는 2030년까지 16조 달러의 시장규모를 가지게 될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와 문제점 해결을 통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며, 이러한 노력이 수반된다면 RWA의 잠재력이 최대한 발휘되어 탈중앙화 금융 시장이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참고 자료

  1. https://medium.com/wepinwallet/%EB%B2%88%EC%97%AD-%EB%94%94%ED%8C%8C%EC%9D%B4-%ED%94%84%EB%A1%9C%ED%86%A0%EC%BD%9C%EC%9D%B4-rwa%EB%A5%BC-%ED%99%9C%EC%9A%A9%ED%95%98%EB%8A%94-%EB%B0%A9%EB%B2%95-%EB%A9%94%EC%9D%B4%EC%BB%A4%EB%8B%A4%EC%98%A4-case-study-40f833835d65
  2. https://medium.com/klaytn-kr/%EC%A0%84%ED%86%B5%EC%97%90%EC%84%9C-%EB%94%94%EC%A7%80%ED%84%B8%EB%A1%9C-rwa-%ED%86%A0%ED%81%B0%ED%99%94%EC%9D%98-%ED%9E%98%EA%B3%BC-%EC%9E%A0%EC%9E%AC%EB%A0%A5-45fe7fafd366
  3. https://xangle.io/research/detail/1620
  4. https://www.blockmedia.co.kr/archives/261091
  5. https://app.rwa.xyz/
  6. https://xangle.io/research/detail/1466
  7. https://web-assets.bcg.com/1e/a2/5b5f2b7e42dfad2cb3113a291222/on-chain-asset-tokenization.pd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