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사의 실시간 건강 정보 체크 앱 개발 프로젝트에 대한 테스트 계획서를 작성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다음과 같이 구성할 수 있다.
1. 프로젝트 개요
- 프로젝트 이름: 실시간 건강 정보 체크 앱 개발
- 목적: 사용자가 걷기, 운동, 맥박 등을 측정하여 실시간으로 건강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
- 개발 기간: 3개월
- 프로젝트 팀 구성:
- 개발자: 3명
- 테스터: 1명
- 디자이너: 1명
- 프로젝트 관리자: 1명
2. 테스트 목표 및 범위
- 테스트 목표: 앱이 정상적으로 사용자의 건강 데이터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정확한 건강 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하는지 확인.
- 테스트 범위:
- 기능 테스트: 걷기, 운동, 맥박 측정 기능, 데이터 저장 및 분석, 사용자 알림 기능.
- 비기능 테스트: 성능, 보안, 사용성, 데이터 동기화 및 백업 기능.
- 호환성 테스트: 다양한 스마트폰 모델 및 OS 버전에서의 호환성 확인.
3. 테스트 전략
- 테스트 유형:
- 단위 테스트: 각 기능의 개별 모듈 테스트 (주로 개발자가 담당).
- 통합 테스트: 다양한 기능이 함께 동작할 때의 상호작용 테스트.
- 시스템 테스트: 전체 시스템이 요구사항에 맞게 동작하는지 확인.
- 사용자 수용 테스트: 최종 사용자 관점에서의 테스트.
- 테스트 방법론:
- 블랙박스 테스트: 기능 중심의 테스트 (입력과 출력만 고려).
- 화이트박스 테스트: 코드 구조를 고려한 테스트 (개발자가 주로 수행).
- 회귀 테스트: 버그 수정 후 전체 시스템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확인.
4. 테스트 항목
- 걷기 측정 기능: 걸음 수 측정, 거리 계산, 칼로리 소모량 표시.
- 운동 측정 기능: 운동 시간, 운동 강도, 칼로리 소모량 표시.
- 맥박 측정 기능: 실시간 맥박 측정, 최대/최소 맥박 기록.
- 건강 정보 제공: 일간/주간/월간 건강 보고서 제공, 개인 맞춤형 건강 팁 제공.
- 사용자 알림: 목표 달성 알림, 건강 상태 이상 알림.
- 데이터 동기화: 클라우드와의 실시간 데이터 동기화.
- 보안: 사용자 데이터 암호화 및 개인 정보 보호 기능.
5. 테스트 환경
- 하드웨어 구성: 다양한 스마트폰 기기 (iOS, Android), 웨어러블 디바이스 (스마트워치 등).
- 소프트웨어 구성: iOS 14 이상, Android 9.0 이상, 필요한 API 및 SDK.
- 네트워크 환경: Wi-Fi, 4G/5G, 다양한 네트워크 상태에서의 테스트.
6. 테스트 데이터
- 테스트 데이터 준비: 실제 사용자의 데이터와 유사한 가상 데이터를 생성하여 사용.
- 데이터 관리: 테스트 중 수집된 데이터를 안전하게 저장하고 필요 시 삭제.
7. 테스트 일정
- 테스트 계획 수립: 프로젝트 시작 후 1주 내.
- 단위 테스트: 1~4주차.
- 통합 테스트: 5~6주차.
- 시스템 테스트: 7~9주차.
- 사용자 수용 테스트(UAT): 10~11주차.
- 테스트 보고서 작성 및 리뷰: 12주차.
8. 테스트 기준
- 진행 기준: 각 테스트 단계에서 모든 주요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
- 완료 기준: 테스트의 90% 이상이 성공적으로 완료되며, 주요 결함이 모두 수정된 상태.
9. 리스크 및 대처 방안
- 잠재적 리스크:
- 호환성 문제: 다양한 기기 및 OS에서의 기능 미작동 가능성.
- 성능 문제: 실시간 데이터 처리 및 동기화 지연 가능성.
- 보안 문제: 사용자 데이터 유출 위험.
- 대처 방안:
- 다양한 기기와 OS에서의 사전 테스트.
- 성능 테스트 시 시뮬레이션을 통해 부하 테스트 수행.
- 보안 테스트 및 외부 침투 테스트 수행.
10. 테스트 결과 보고
- 보고서 구조: 테스트 개요, 테스트 수행 결과, 발견된 결함, 결함 수정 상태, 최종 평가.
- 결과 분석 및 평가: 각 테스트 단계별 성공률 분석, 주요 결함 및 개선 사항 제안.
11. 테스트 종료 기준
- 종료 조건: 모든 주요 기능이 테스트를 통과하고, 심각한 결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최종 사용자 수용 테스트에서 사용자의 요구사항이 모두 충족된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