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일차 : 2-5.인터페이스 구현

Dev_HG·2020년 7월 9일
0

1. 인터페이스 설계 확인

1.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1.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방법

1. 인터페이스 기능 개념

  • 이기종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한 기능을 말한다.

2. 인터페이스 기능 확인 방법

  • 이기종 시스템 또는 컴포넌트 간 데이터 교환 및 처리를 위하나 목적으로 각 시스템의 교환 데이터 및 업무, 송수신 주체 등이 정의되어 있는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보고 인터페이스 기능을 확인 할 수 있다.
  • 인터페이스 설계서의 하나인 인터페이스 정의서를 통하여 외부 및 내부 모듈의 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2.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한 기능 확인

1. 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한 기능 확인 방법

  • 인터페이스와 통신하는 내/외부 모듈의 기능으 ㄹ인터페이스 설계서를 통하여 확인하여 향후 인터페이스 개발에 필요한 공통 영역에 대한 기능을 도출 할 수 있다.
  • 인터페이스 설계서에는 인터페이스 목록과 인터페이스 정의서 등이 있다.

2. 인터페이스 목록

  • 인터페이스 목록은 연계 업무와 연계에 참여하는 송수신 시스템의 정보, 연계 방식 통신 유형 등에 대한 정보를 초함 하고 있다.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명명 표준에 맞게 부여
  • 인터페이스 명 : 인터페이스의 목적을 나타내는 이름
  • 송신 시스템 : 인터페이스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는 시스템
  • 수신 시스템 :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된 데이터를 이용하는 시스템
  • 대내외 구분 : 인터페이스가 기업 내부 시스템 간 또는 내/외부 시스템 간에 발생하는지 여부
  • 연계 방식 : 웹 서비스, FTP, DB 링크, 소켓 등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인터페이스 방식
  • 통신 유형 : 동기, 비동기 등 아키텍처에서 정의한 통신 유형
  • 처리 유형 : 실시간, 배치, 지연 처리 등 인터페이스 처리 유형, 처리 유형이 실시간인 경우 수시, 그 외 상세 주기를 표시(매일 오전 10시, 매시 10분)
  • 주기 : 인터페이스가 발생하는 주기
  • 데이터 형식 : 고정 길이, XML 등 인터페이스 항목의 데이터 포맷
  • 관리 요구사항 ID : 해당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요구사항 식별 정보

3. 인터페이스 정의서

  • 인터페이스 정의서는 데이터 송/수신 시스템 간의 저장소와 속성 등의 상세 내역을 포함한다.
  • 인터페이스 ID : 인터페이스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 일반적으로 인터페이스 식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업무 분류 코드와 연속 번호를 같이 활용함
  • 최대 처리 횟수 : 단위 시간당 처리될 수 있는 해당 인터페이스 최대 수행 건수
  • 데이터 크기(평균/최대) : 해당 인터페이스 1회 처리 시 소요되는 데이터의 쳥균 크기와 최대 크기
  • 시스템 정보(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시스템 명, 업무 명, 서비스 명, 프로그램 ID, 연계 방식, 담당자/ 연락처
  • 데이터 정보(송수신 시스템 각각 작성) : 번호, 필드, 식별자 여부, 데이터 타입, 데이터 크기, 널(NULL)허용 여부, 항목 설명, 조건, 매핑 규칙, 총 길이, 추출 조건/SQL

3. 정적, 동적 모형 분석을 통한 인터페이스 내/외부 기능 확인

  • 정적, 동적 모형을 통해 각 시스템의 구성요소를 표현한 다이어그램 활용하여 시스템, 컴포넌트별 인터펭스와 요구 조건을 확인할 수 있다.
  • 시스템을 구성하는 주요 구성요소 간 트랜잭션을 분석하여, 이를 통해 시스템에서 인터페이스는 어디에 속하고 어떤 트랜잭션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호 교환 되는지 확인 할 수 있다.
  • 수강료 청구 발급과 연계되어 있는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 분석을 통해 수강료 청구서 발급 조회 인터페이스를 확인할 수 있다.
    cf : 유스케이스 다이어그램(Usecase Diagram) : 요구사항을 가운데서 기능적인 요구사항을 유스케이스란 단위로 표현하고 액터와 시스템의 관계를 표현한 다이어 그램

2. 데이터 표준 확인

1.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이란 상호 연계하고자 하는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가 되어야 할 범위의 데이터 형식과 표준을 정의하는 것이다.
  • 송.수신 시스템 간의 인터페이스 데이터를 표준화하기 위해서는 송/수신 데이터 중 공통의 영역을 추출하여 정의하는 경우도 있고, 한쪽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경우도 있다.

2. 송,수신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절자

1.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를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 확인

가.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출력 의미 파악

  •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입력값, 출력값이 의미하는 내용을 파악
  • 각 출력값이 의미하는 바와 데이터의 특성 등 참고할 만한 사항을 구체적으로 작성

[입력값]

  • 점수 코드 : 점수 작업의 단위를 나타내는 Key 값
  • 점수 계산 일자 : 점수 계산 일자(인터페이스 시 채점 일자로 활용)

[출력값]

  • 성적표 일반 정보 : 성적표 생성 일자, 학과명, 전체 학과 인원 수, 성적 등급 안내표
  • 과목별 점수 : 각 교과목별 득점 점수, 학생 개인별 각 과목에 대한 점수

나. 데이터 인터페이스 입/출력 의미파악을 통한 데이터 표준 확인

  • 데이터 인터페이스의 각 항목의 의미 분석 후 , 이를 기반으로 데이터 표준을 확인한다.

[입력값]

  • 점수 코드 : 점수 계산 연월을 숫자 6자리로 명시(202002), 각 과목 코드 중 수학 코드는 M001, 영어 코드는 E00로 정의
  • 점수 계산 일자 : YYYYMMDD 형태의 8자리로 표현

[출력값]

  • 성적표 일반 정보 : 성적표 생성 일자 : YYYYMMDD 형식, 성적 등급 안내표 :A~F까지 나눠서 표기
  • 과목별 점수 : 각 교과목별 득점 점수 : 소수점 두 번쨰 자리까지 표기, 학생 개인별 각 과목에 대한 점수: SUM으로 항목 표기

2.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 설계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을 통해 인터페이스 데이터 항목을 식별한다.
  • 필요 데이터 항목과 이전에 식별된 데이터 인터페이스 항목에서 수정, 추가, 삭제되어야 할 항목이 있는 지 검토
    [요구조건]
  • 성적표에 들어갈 계정 정보를 학적부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요청한다.
    [필요 데이터 항목 식별]
  • 필수 연계 값: 학생 이름, 학과명, 입학 년도

3. 데이터 표준 최종 확인

  • 식별된 인터페이스 기능 및 데이터 항목을 통해 필요한 데이터 표준 및 조정해야 할 항목을 검토 및 확인하고, 이에 따라 송/수신 시스템 간 인터페이스 데이터 표준을 최종적으로 확인한다.

3. 송/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 매핑 방법 확인

  • 송/수신 되는 정보에 포함된 코드 변환을 통해 인터페이스 하는 방법은 송신 시스템 코드를 수신 시스템 코드로 매핑(Mapping)해주는 방법과 송.수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코드를 통합하여 표준화한 후 전환하는 방법이 있다.

1. 송신 시스템 코드를 수신 시스템 코드로 매핑하는 방법

  • 송/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면 매핑 테이블을 이용해서 직접 코드 변환을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2. 송/수신 시스템의 코드 통합 후 매핑하는 방법

  • 송/수신 시스템 간 데이터 표준화가 되어 있다면 이를 기준으로 송/수신 시스템 간 코드 매핑 테이블을 이용해서 코드 변환을 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4. 내/외부 인터페이스 기술 표준 확인

  •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위해 외부 및 내부 모듈을 연계하는 대표적인 방법은 EAI 방식과 ESB 방식이 있다.

1. EAI(Enterprise Application Integration) 방식

  • 기업에서 운영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 간의 정보 전달, 연계, 통합을 가능하게 해주는 솔루션이다.
  • EAI를 사용함으로 써 각 비즈니스 간 통합 및 연계성을 증대시켜 효율성을 높여 줄 수 있으며 각 시스템 간의 확장성을 높여 줄 수 있다.

[EAI 구축 유형]

  • 포인트 투 포인트(Point-to-Point) : 중간에 미들웨어를 두지 않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 간의 점대점 형태로 연결
  • 허브 앤 스포트(Hub & Spoke) : 단일한 접점의 허브 시스템을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중앙 집중식 방식, 허브 장애 시 전체 장애 발생
  • 메시지 방식(Message Bus) : 애플리케이션 사이 미들웨어(버스)를 두어 연계 하는 미들웨어 통합 방식, 뛰어난 확장성과 대용량 데이터 처리가능
  • 하이브리드(Hybrid) : 그룹 내는 허브 앤 스포크 방식을 사용하고, 그룹 간에는 메시지 버스 방식을 사용하는 통합 방식

2. ESB(Enterprise Service Bus)방식

  • 기업에서 운영 되는 서로 다른 플랫폼 및 애플리케이션들 간을 하나의 시스템으로 관리 운영할 수 있도록 서비스 중심의 통합을 지향하는 아키텍처 또는 기술이다
  • ESB는 버스를 중심으로 각각 프로토콜이 호환이 가능하도록 애플리케이션의 통합을 낮은 결합 방식으로 지원하는 방식
    cf : 낮은 결합(Loosely Coupled) : 여ㅕ기에서 낮은 결합은 특정 서비스를 변경하더라도 연결된 다른 서비스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유연한 구조라는 의미이다.
profile
꾸준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