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v4, IPv6

h j·2023년 7월 14일
0

study

목록 보기
8/9

❓ IPv4

📑 개념

Internet Protocol version 4

IPv6 활성화 이전 현재에 주로 사용되는 IP이다.

4영역으로 나누어진 최대 12자리의 번호로 이루어져 있다. (EX. 127.0.0.1, 192.12.100.2)
숫자로 구성된 인터넷 공인 주소이고 점(.)으로 구분한다. 각 영역의 숫자는 0~255까지의 숫자로 표현 가능하며 한 영역의 256 (2^8) 가지의 경우의 수를 표현할 수 있다. 비트로 표현하면 각 영역은 8비트로 이루어지며 총 4영역이므로 8*4=32비트 체계이다.

32비트로 이루어진 IPv4는 최대 약 40억개(2^32)의 서로 다른 주소를 부여할 수 있다. 그러나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는 전세계 사용자 수를 감안하면 현재 사용되고 있는 IPv4 체계로는 계속해서 요구되는 인터넷 주소 할당 수요를 충족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생기기 시작했고 이를 해결하고자 새로운 IP 주소체계인 IPv6이 등장하게 되었다.


📑 특징

  • 패킷의 단편화

  • 송수신 주소는 32bit로 주소지정

  • 최대 패킷 사이즈는 65,535 바이트

  • 오류검출 대상이 데이터가 아닌 헤더 부분만을 대상으로 함

  • 패킷이 망을 통해 전달되는 동안의 생명(lifetime)이 유한

  • 상위 프로토콜 식별 유형 제공


⁜ 패킷이란?
: 데이터(정보)를 일정 크기로 자른 것 (헤더, 데이터, 트레일러로 구성됨)
: 물리계층(Layer 1)에서 정의되는 파형, 비트, 심볼 등과는 달리, 망 계층(Layer 3)이상에서 정의되는 데이터 단위



❓ IPv6

📑 개념

Internet Protocol version 6

현재의 인터넷 프로토콜(IPv4)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차세대 인터넷 프로토콜이다. IPv6 주소는 128비트 체계로 구성되어 있다. (EX.0:0:0:0:0:0:0:1, 2001:230:abcd:ffff:0000:0000:ffff:1111) 표현방법은 16비트씩 8부분으로 나누어 각 부분을 콜론(:)으로 구분하며 각 16진수로 표현한다.

128비트 주소체계인 IPv6은 최대 1조개 이상(2^128)을 부여할 수 있다는 점이 가장 큰 강점이다.

서비스에 따라 각기 다른 대역폭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 일정수준의 서비스 품질을 요구하는 실시간 서비스를 더욱 쉽게 제공할 수 있고 인증, 데이터 무결성, 데이터 기밀성 등을 지원하도록 보안 기능을 강화한 것이다.
또한 인터넷 주소를 ㄹ기존 IPv4의 A/B/C/D 클래스 별 할당이 아닌,
유니캐스트, 애니캐스트, 멀티캐스트 형태의 유형으로 할당하기 때문에 할당된 주소의 낭비자원이 사라지고 더욱 간단하게 주소를 자동 설정할 수 있다.







출처

: 정보통신기술용어해설
: Blog

profile
... . _._. ._. . _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