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 세계를 단순화시켜 표현하는 것시간, 돈을 절약하는 기법다수가 사용하는 공통 기반주어진 개념으로부터 논리적인 데이터 모델을 구성하는 작업DB의 골격을 이해하고, 모델의 기능과 성능적인 측면에서의 효율적 작성을 필요로 함업무의 관심 대상이 되는 정보를 갖고 있거나,
ERD를 도출한 후, 삽입, 삭제, 갱신 이상을 핸들링하는 과정정규화를 통해 해결한다.1\. 삽입 이상불필요 정보를 함께 저장하지 않고 특정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불가능한 경우2\. 갱신 이상반복된 데이터 중 일부만 수정 시, 데이터의 불일치가 발생하는 경우3\. 삭
최근 업무에서 사용하는 Oracle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특정 로직을 처리하고 RETURN 값이 없는 서브 프로그램특정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 집합미리 정의된 로직을 가진 이름 있는 코드 블록TABLE에 대해 데이터를 추출(조작)해 이를 다른 TABLE에 저장,
쿼리문에 의해 반환되는 결과값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공간에 대한 포인터SQL문을 처리한 결과 집합을 가리킨다.결과 집합은 Oracle 서버 프로세스 내부의 Private SQL Area 메모리 영역에 저장Private SQL Area는 특정 쿼리에 대한 결과를 저장 및
DML : INSERT, UPDATE, DELETE 쿼리가 수행될 때,자동으로 수행되는 PROCEDURE의 일종DB의 특정 이벤트가 발생하면 자동 실행되는 이벤트 핸들러COL의 각 ROW에서 값 변화가 생길때마다 실행:old, :new트리거 사건에 의해 단 한번 수행,
Oracle DB에서 제공하는 자료구조 중 하나레코드와 유사한 데이터 타입이나, 한층 향상되고 확장된 형태동일 타입의 여러 데이터를 단일 변수에 저장배열과 같다고 생각하면 편하다.class와 유사하게 생성자를 통해 초기화화며,컬렉션 메서드를 제공해 값의 수정, 삭제를
RDBMS에서 가장 중요한 원칙은 여럿 있겠지만,트랜잭션의 ACID 원칙은 놓칠 수 없는 핵심 중 핵심이다.개발을 하다 보면 데이터베이스, 특히 Oracle의 트랜잭션 처리 방식 때문에 얘기치 못한 난관에 부딪히곤 한다.오늘은 회사에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트리거(Tri
RDBMS를 다루며, 보안과 접근 제어는 떼어놓을 수 없다.가장 크게는 MAC, DAC, RBAC으로 구분되는데MAC정책과 규칙에 의한, 시스템 중앙 통제식 접근 제어DAC사용자가 객체(자원)에 대한 접근 권한 결정RBAC사용자의 역할을 기반으로 하는 접근 제어로 이해
오랜만에 이론 공부를 좀 했다.아무래도 SQLD 시험도 쳤고, 데이터 처리 쪽에 관심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으로...이번엔 데이터를 나누는 가장 큰 기준 중 하나인정형 데이터와 비정형 데이터, 반정형 데이터에 대해 얘기하고자 한다.먼저 데이터란, 관찰, 실험, 분석 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