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새 경기침체로 신규투자는 줄어들고, 대기업도 동결 또는 신규입사를 줄이면서 캠프동기들과 나 또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
캠프를 수료한지 어엿 한 달이 다 되어 가는데 한 곳도 연락오지 않는 동기들도 있다.
나 또한 가고싶은 회사들로만 이력서를 넣고 있지만, 아직까지 연락은 오지 않고 있다.
그러다보니 심적으로 힘든 것같다.
부트캠프를 시작한 이유가 뭐였을까, 빠른 취업이였다.
개발자로 빠르게 커리어를 시작하고 싶었기에 선택한 결과였다.
동기들이 지쳐 하나씩 퇴소를 결정함에도 끝까지 살아남으려 노력했던건 개발 자체가 재밌었고 함께 협업을 한다는게 즐거웠다. 나는 왜 개발을 했을까. 갈증이였다. QA든 기술지원이든 내 레벨에서 접근할 수 없는 깊은 곳에서의 오류. 팀원들은 고객에게 명확한 원인과 해결책을 설명해주지 못해 나만 바라봤었고, 나는 조금이라도 더 개발부서와 가까워지기 위해 그리고 기술적 갈증으로 혼자 C++부터 독학을 시작했었다.
어느덧 내가 개발자로 커리어를 선택한 이유를 잊고 힘들어하는 나를 발견했다. 부트캠프를 나오면 취업이 상대적으로 쉬울거라고 생각한 내가 우스웠다. 캠프 덕에 협업을 경험했고, 캠프 덕에 평생을 함께할 동기들을 만났다.
한 명의 기술자로써, 개발자로써 내가 지금 해야하는건 할 수 있는 건 나를 바꾸는 것이다.
이전에 구현만 하고 제대로된 기술적 이해와 결정없이 난잡해진 코드를 분석하고 왜 작동하는 것인지, 어떻게하면 더 성능개선을 할 것인지를 공부하고 같이 일하고 싶은 팀원이 되기 위해 내 스펙을 높이는 수밖에 없다.
절박한 모든 순간순간에 아주 작은 희망이라도 존재할 수 있도록.
기적은 분명 있다. 없으면 만들면 된다.
누군가의 반대도 있고 내가 틀렸다고도 한다.
원리원칙을 고수하기 위해선 등 뒤에 수군거림을 감내해야한다.
지금이 때가 아니였대도, 내가 가진 한계치를 최대한으로 끌어내고
사활을 걸면 된다. 타인의 시선에 휘둘리지 않을 만큼 난, 내 선택을 믿는다.
생각해보면 나는 단 한 번도 실패해본 적이 없다.
어떤 조건에서도 뚜벅뚜벅 걸어나왔었다.
내가 알고 경험한 모든 것이 틀릴 수 있대도,
시작을 위한 완벽한 타이밍은 없다.
모든게 한 순간에 달라질꺼란 기적도 없다.
여태껏 그래왔던 것처럼 어차피 내 운은 내가 만든다.
1개의 목표에 다다르기위한 99번의 실패. 늘 해왔던거고
제일 잘하는거니까
너무 오랫동안 인생의 빈 칸을 비운 채로 두었다.
도무지 무엇을 써내러가야 할 지 모르는 빈칸들.
난 이제 오래도록 비워두었던 빈 칸들에 답을 채워야만 한다.
멋진 주니어로써 시작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