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vel1 _ [2019 KAKAO BLIND RECRUITMENT] 실패율

LOOPY·2022년 5월 6일
0

Programmers(연습문제)

목록 보기
60/63

나의 답안

정직하게 ans 변수에 스테이지 번호와 실패율의 2차원 배열을 생성한 후, stage를 오름차순 배열했을 때 특정 stage를 기준으로 (도달했지만 클리어하지 못한 사람/도달한 사람)을 temp 변수를 사용해 그 수를 계산하여 저장하였다.

다른 답안

사람의 수를 계산할 때 굳이 정렬이나 피벗 변수를 사용하지 않아도 filter함수로 훨씬 간결하게 (무려 3줄 이내에) 계산해낼 수 있었다😵 이 부분은 왠지 실무(플젝?)에서도 사용할 일이 언젠가 생길 듯!! 잘 기억해둬야징

profile
2년차 프론트엔드 개발자의 소소한 기록을 담습니다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