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주얼 스튜디오 코드를 열어서 File - Open Folder
로 깃허브와 연동시킬 폴더를 연다.
ctrl + shift + `
단축키로 새 터미널 창을 연다
2-1. 터미널 창이 git bash로 설정되어있지 않다면 참고하기
최초 설정
git config --global user.name "(깃허브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깃허브 메일)"
(단, 이미 다른 프로젝트에서 한번 설정해준 경우는 안해도 됨)
3-1. 확인 방법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기본 브랜치명 변경하기 (충돌 예방)
git config --global init.defaultBranch main
(마찬가지로 다른 프로젝트에서 한번 설정해준 경우는 안해도 됨)
git 관리 시작 알리기
git init
입력하면 해당 폴더에 .git 폴더가 생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git에 포함하지 않을 대상 알리기 (필수x)
.gitignore
이라는 파일을 생성하여 원하지 않는 파일들 입력하기
.gitignore 형식 참고
변경사항 확인 (필수x)
git status
커밋 준비 시킬 파일 설정하기 (타임캡슐에 아이템을 담는 과정과 같다)
git add xxx.html
8-1. 폴더의 모든 파일 커밋 준비 시키기
git add .
커밋하기 (타입캡슐을 땅에 묻는 것과 같다)
git commit -m "메세지"
9-1. vim을 이용하여 커밋하는 방법 참고
커밋 내용 확인하기 (필수x)
git log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hhnssl/LIKELION_FE_SCH_Licat.git
git branch -M main <- 이 문장은 이미 VSC 파트의 4번에서 이미 설정하였으므로 생략 가능(단 main이 아닌 다른 브랜치명을 사용할 땐 main을 다른 브랜치명으로 입력해야한다.)
git push -u origin main
영상에서 추가적으로 익히면 좋을 내용들 타임라인과 명령어
1. 1:49:00 과거로 돌아가는 방법 (사이트)
2. 1:06:01 여러 branch 만들어보기 (사이트)
3. 1:17:01 branch 합치기 (사이트)
4. 1:56:20 push 와 pull (사이트)
5.git remote
: 원격 목록 보기
6.git remote remove (origin 등 원격 이름)
: 원격(연결) 없애기
7.git clone (원격 저장소 주소)
: GitHub에서 프로젝트 다운 받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