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우터(Router) 는 라우팅
기능을 갖는 공유기이다. 패킷
의 위치를 추출하여, 그 위치에 대한 최적의 경로를 지정하여, 이 경로를 따라 데이터 패킷을 다음 장치로 전향시키는 장치. 이 때 최적의 경로는 일반적으로 가장 빠르게 통신이 가능한 경로이다. 이것이 최단 거리 일수도 있지만, 돌아가는 경로라도 고속의 전송로를 통하여 전달이 되는 경로가 될 수 있다. 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 간에 중계 역할을 한다.
네트워크 안에서 통신 데이터를 보낼 때 최적의 경로를 선택하는 과정. 최적의 경로란 데이터를 가장 짧은 거리로 보내거나 가장 적은 시간 안에 전송할 수 있는 경로이다. 라우팅은 전자 정보 통신망, 교통망 등 여러 종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
패킷 스위칭 네트워크에서 라우팅은 인터넷상의 트래픽의 단위 전달을 의미하는 패킷이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 이 때 사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라우터 브릿지
, 게이트웨이
, 방화벽
또는 스위치
로 불리는 중간 노드를 거쳐 출발지부터 최종 목적지까지 논리적으로 주소가 부여된 패킷의 전달 과정을 총괄하는 것이 라우팅이다.
- 노드 : 통신망 가운데도 시간을 잇는 기간회선과 단말에 연결되는 자회선과의 접속 부분. 기간 통신회선에서 갈라져 나온 점이기도 하다. 노드 지점에 설치한 통신제어장치에 의해 통신망 전체를 제어. 이 통신제어에 사용되는 컴퓨터를 노드라고 부르는 경우도 있다.
패킷 방식
의 컴퓨터 네트워크가 전달하는 데이터의 형식화된 블록. 패킷은 제어 정보와 사용자 데이터로 이루어지며, 이는 페이로드
라고도 한다. 패킷을 지원하지 않는 컴퓨터 통신 연결은 단순히 바이트, 문자열, 비트를 독립적으로 연속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가 패킷으로 형식이 바뀔 때, 네트워크는 장문 메세지를 더욱 효과적이고 신뢰성있게 보낼 수 있다. 패킷은 헤더, 데이터, 테일러로 이루어져 잇는데 헤더에는 수신처의 인터넷 주소와 순서 등이, 테일러에는 에러 정보가 기록되어 있다. 네트워크 계층에서 3~4계층의 데이터 단위를 패킷이라고 정의한다.
패킷의 최대 길이는 각 시스템에서 정해져있다. 만약 이보다 긴 데이터를 보내야 한다면 몇 개의 패킷으로 잘라서 보내야 데이터가 분실 없이 확실하게 전송된다.
위의 사진은 위키백과에서 가져온 IPv4 패킷 헤더이다.
IP패킷은 헤와 페이로드로 이루어진다.
사용에 있어서 전송되는 데이터를 뜻한다. 전송의 근본적인 목적이 되는 데이터의 일부분으로 그 데이터와 함께 전송되는 헤더와 메타데이터와 같은 데이터는 제외.
프로토콜중에 프로토콜 오버헤드와 원하는 데이터를 구별할 때 사용. 예를 들어 웹 서비스 응답이 아래의 JSON이라 하면
{
"status" : "OK",
"data" : {
"message" : "Hello, world!"
}
}
위의 코딩에서 "Hello, world!"가 클라이언트가 관심을 가지는 페이로드이다. 나머지 부분은 프로토콜 오버헤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