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d("태그", "메시지")
매우 자주 쓰이니 Log를 활용해서 값을 확인해보는 습관을 들이자.
var myName = "홍길동"
var myAge: Int
myAge = 27
숫자형 : Double, Float, Long, Int, Short, Byte
문자형 : Char, String
(사실 String은 기본타입은 아니지만 거의 기본타입만큼의 빈도수로 쓰이기 때문에 걍 이 카테고리에 넣음)
불린형 : Boolean
var name = "홍길동"
Log.d("BasicSyntax", "제 이름은 $name 입니다.")
문자열 내부에서 $ 표시를 넣으면 해당 영역이 문자가 아닌 코드라는 것을 컴퓨터에게 알려줌.
주의할 점은 $변수 다음에 이어지는 문자가 있다면 공백으로 구분되어야 한다.
"제 이름은 $name입니다."
라고 쓰면 입니다가 문자열이기 때문에 $name도 문자열로 인식해서 컴퓨터가 코드로 인식하지 못하고 해당 변수값을 읽어오지 못한다.
변하지 않는 값을 넣지만 상수와는 조금 다른 개념이다.
변하지 않는 값을 미리 지정해두고 필요에 따라 다른 값과 조합해서 사용하는 방식으로 쓰인다.
val roadName = "국제금융로"
var address = roadName + " 8길"
val language = "kotlin"
language = "java" // 오류. val 변수는 값을 변경할 수 없다.
상수는 주로 기준이 되는 변하지 않는 값을 입력해둘 때 사용하며, 읽기 전용 변수인 val 앞에 const 키워드를 붙여서 만든다.
const val PI = 3.141592
개발자끼리 코드분석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관례적 명명 약속이나, 가독성을 높이는 코드 작성법.
클래스명 : 캐멀 케이스 (첫글자는 대문자)
함수명과 변수명 : 캐멀 케이스 (첫글자만 소문자)
상수명 : 다 대문자 (단어가 2개 이상일 경우 _로 이어 스네이크 케이스로 작성)
들여쓰기 : 이거 안하면 그냥 개발자 아니고 개라고 보면 된다고 책에 쓰여 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