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틀린의 기초(2장) 요약

Suyong Lee·2021년 9월 7일
0

Kotlin

목록 보기
9/16
post-thumbnail
  1. 함수를 정의할 때 fun 키워드를 사용한다. val과 var는 각각 읽기 전용 변수와 변경 가능한 변수를 선언할 때 쓰인다.

  2. 문자열 템플릿을 사용하면 문자열을 연결하지 않아도 되므로 코드가 간결해진다. 변수 이름 앞에 $를 붙이거나, 식을 ${식}처럼 ${}로 둘러싸면 변수나 식의 값을 문자열 안에 넣을 수 있다.

  3. 코틀린에서는 값 객체 클래스를 아주 간결하게 표현할 수 있다.

  4. 다른 언어에도 있는 if는 코틀린에서 식이며, 값을 만들어낸다.

  5. 코틀린 when은 자바의 switch와 비슷하지만 더 강력하다.

  6. 어떤 변수의 타입을 검사하고 나면 굳이 그 변수를 캐스팅하지 않아도 검사한 타입의 변수처럼 사용할 수 있다. 그런 경우 컴파일러가 스마트 캐스트를 활용해 자동으로 타입을 바꿔준다.

  7. for, while, do-while 루프는 자바가 제공하는 같은 키워드의 기능과 비슷하다. 하지만 코틀린의 for는 자바의 for보다 더 편리하다. 특히 맵을 이터레이션 하거나 이터레이션하면서 컬렉션의 원소와 인덱스를 함께 사용해야 하는 경우 코틀린의 for가 더 편리하다.

  8. 1..5와 같은 식은 범위를 만들어낸다. 범위와 수열은 코틀린에서 같은 문법을 사용하며, for 루프에 대해 같은 추상화를 제공한다. 어떤 값이 범위 안에 들어있거나 들어있지 않은지 검사하기 위해서 in이나 !in을 사용한다.

  9. 코틀린 예외 처리는 자바와 비슷하다. 다만 코틀린에서는 함수가 던질 수 있는 예외를 선언하지 않아도 된다.

profile
이수용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