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기사]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 활용

LU·2025년 2월 25일
0
post-thumbnail

소프트웨어 개발 생명주기 모형

프로토타입 모형(Prototype Model)

  • 실제 개발될 소프트웨어에 대한 시제품(Prototype)을 만들어 최종 결과물을 예측하는 모형
  • 요구 수집, 빠른 설계, 프로토타입 구축, 고객 평가, 프로토타입 조정, 구현의 단계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모형
  • 발주자(의뢰자)나 개발자 모두에게 공동의 참조 모델을 제공
  • 사용자 요구사항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충실히 반영

폭포수 모형(Waterfall Model)

가장 오래된 모형으로 모형의 적용

  • 보헴(Boehm)이 제안한 고전적 생명주기 모형
  • 선형 순차적 모형
  • 타당성 검토, 계획, 요구사항 분석, 구현, 테스트, 유지보수의 단계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모형
  • 순차적인 접근 방법을 이용
  • 단계적 정의와 산출물이 명확
  • 각 단계의 결과가 확인되어야지만 다음 단계로 넘어간다.

나선형 모형(Sprial Model)

  • Boehm이 제시
  •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는 모형 으로 점증적 모형, 집중적 모형이라고도 한다.
  • 완성도 높은 소프트웨어 를 만들 수 있다.
  • 여러 번의 개발 과정을 거쳐 완벽한 최종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점진적 모형
  • 대규모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개발에 적합 하다.

나선형 모형의 개발 단계

나선형 모형

CPM(Critical Path Method)

  • 프로젝트 완성에 필요한 작업을 나열하고 작업에 필요한 소요 기간을 예측하는 기법
  • 노드와 간선으로 구성 되며, 노드는 작업을 표시하고 간선은 작업 사이의 전후 의존 관계를 나타낸다.
  • 박스 노드는 프로젝트의 중간 점검을 뜻하는 이정표로, 이 노드 위에 예상 완료 시간이 표시된다.
    CPM

PERT(Program Evaluation and Review Technique)

  • 소요 시간 예측이 어려운 경우 최단 시간 내에 완성할 수 있게 하는 프로젝트 방법
  • 계획 공정(Network)을 작성하여 분석하므로 간트도표에 비해 작업 계획을 수립하기 쉽다.
  • 계획 공정의 문제점을 명확히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다.
  • 관계자 전원이 참가하게 되므로 의사소통이나 정보 교환이 용이하다.
profile
기록은 나의 무기😎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