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와 나와 우리를 위한 클린코드 (feat. NextStep, TDD 클린코드 with React)

Lucky.Jun 🍀·2023년 4월 23일
63

tdd-react

목록 보기
1/1
post-custom-banner

NextStep, TDD 클린코드 with React

cleanCodeReact

2월 ~ 4월까지 약 2달 동안 NextStepTDD 클린코드 with React 과정을 진행했습니다.

과정을 진행하면서 여러모로 배운 점들이 정말 많지만, 이번엔 리액트 클린코드 과정 진행과 클린코드에 대해 배우고 느꼈던 점들에 대해 나누어보려고 합니다. 😁

글이 좀 길어져, 목차를 추가했습니다! 📜

  • TDD 클린코드 with React 과정 소개
  • 미션 요구사항에 따른 첫 설계
  • 리뷰를 통한 코드 수정, 기존 코드를 클린하게 수정하기.
  • 클린코드에 대해서

TDD 클린코드 with React 과정 소개

간단하게 제가 진행했던 TDD 클린코드 with React 2기 과정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미션은 크게 2가지로 구성되어있습니다.

페이먼츠 미션

payments_demo

다수의 input이 있는 복잡한 form을 다루는 미션입니다.

CDD 방법론을 적용해 Bottom-up 방식으로 컴포넌트를 개발하고 Storybook으로 단위 컴포넌트를 테스트하는 것을 중점으로 합니다.

(이 미션에선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ㅎㅎ 😯)

페이먼츠 과제 결과물 Repo와 PR -> Payments Github Repo, Pull Request

장바구니 페이지

cart_demo

Api가 없는 상황에서도 안정적으로 개발환경을 구축하고 복수의 페이지에서도 복잡한 state를 안정적으로 관리하는 방법을 중점으로 진행합니다.

MSWreact-query를 적용해 개발했습니다.

장바구니 PR -> 장바구니 1차 장바구니 2차

이번 포스트는 페이먼츠 미션을 중심으로 진행됩니다.

두가지 미션 중에선 개인적으로 페이먼츠가 더 어려웠고 그만큼 배운 점도 더 많았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페이먼츠 미션을 위주로 이번 포스트를 진행하도록 하겠습니다!

페이먼츠 설계

페이먼츠 미션을 보고 처음에 생각했던 설계입니다.

이번 미션에선 상태 관리 라이브러리를 사용할 수 없어 전역 상태 공유는 모두 Context Api를 활용했습니다.

크게 2가지를 생각했습니다.

  • 어디에서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input Element와 동기화 된 객체를 state로 가져보자.
  • 여러겹의 추상화 계층으로 재사용성을 높여보자.

어디에서든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input Element와 동기화 된 객체를 state로 가져보자.

각 input Element에 대응하는 State 객체를 만들어 사용하고 메소드로 필요한 데이터를 가져올 수 있도록 했습니다.

페이먼츠 과제의 요구사항 중에 다음과 같은 사항이 있었고,

  • 각 input들의 조건에 따라 validation 체크
  • 유효한 값 입력시 다음 필드로 Input Focusing

페이먼츠 미션의 요구사항을 보고 생각했을 때, 각 input에 대응하는 state를 객체의 형태로 다룬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스스로 validation하는 state 객체

    각 Input마다 각자의 validation 로직이 필요합니다.

    따라서 객체로 함께 관리하면 컴포넌트에서 별도의 실행로직 없이 새롭게 값이 갱신될 때마다, 자동으로 validation 할 수 있어 컴포넌트의 로직을 한층 깔끔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invalid에 곧바로 대응해 focus할 수 있는 state 객체

    Auto focus를 설계할 당시 invalid한 input을 찾아, focus하는 방법을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invalid한 state 객체를 찾으면 해당 input Element에 곧바로 focus할 수 있도록 HTMLInputElement를 포함시켜두면 좋을 것 이라고 생각했습니다.

  • 컴포넌트의 로직을 깔끔하게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input의 UI들은 비슷했기에, 구체적인 비즈니스 로직을 state 객체에 넣어두면 공통 컴포넌트에 UI를 정의하고 객체를 주입해 간편하게 재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했습니다.

state 객체 구현

직접 구현한 input에 대응하는 state 객체와 이를 컴포넌트에 제공하고 적용하는 로직입니다.

(원래 코드를 조금 수정했습니다.. 추상화단계가 더 있지만, 글의 가독성을 위해 로직을 좀 더 직관적으로 수정했습니다. ㅎㅎ)

// input Element에 대응하는 객체 생성
type TCardNumber = string;

export class CardNumberInputElement {
  value?: TCardNumber;
  errorMessage?: string;
  ref?: HTMLInputElement | null;

  setRef(ref?: HTMLInputElement | null) {
    this.ref = ref;
  }

  // validate 로직, invalidate case에 따른 errorMessage와 함께 관리합니다.
  validateValue(value?: string) {
    if (isNil(value)) return;
    if (!value || value.length !== 4) {
      return '카드 번호 4자리를 입력해주세요.';
    }
  }

  isAllowToFocusNext() {
    return this.value?.length === 4;
  }

  checkWhetherThisUserInputCanBeSet(inputValue: TCardNumber) {
    return !inputValue || inputValue.length <= 4;
  }

  constructor({ value, ref }: Partial<CardNumberInputElement>) {
    this.value = value;
    this.errorMessage = this.validateValue(value);
    this.ref = ref;
  }
}

// cardStore에 합쳐서 Context로 제공합니다.
const cardStore = {
  cardNumbers: createArray(4, () => new CardNumberInputElement({})),
  cardOwners: createArray(1, () => new CardOwnerInputElement({})),
};

컴포넌트에서 아래와같이 적용됩니다.

interface CardNumbersInputListProps {
  cardNumbers?: TCardStore['cardNumbers'];
}

export const CardNumbersInputList = memo(function CardNumbersInputList({ cardNumbers }: CardNumbersInputListProps) {
  const errorMessage = cardNumbers?.find((cardNumber) => !!cardNumber.errorMessage)?.errorMessage;

  return (
    <CardInputWrapper header="카드 번호" errorMessage={errorMessage}>
      <div className="input-box">
        {cardNumbers?.map((cardNumber, i) => {
          const isLast = checkIsArrayLast(cardNumbers, i);
          const isPasswordType = i >= cardNumbers.length - 2;
          return (
            <CardNumberInput
              key={`cardNumber-input-${i}`}
              type={isPasswordType ? 'password' : 'text'}
              needDividerRender={!isLast}
              cardNumber={cardNumber}
              index={i}
            />
          );
        })}
      </div>
    </CardInputWrapper>
  );
});

interface CardNumberProps {
  type?: HTMLInputTypeAttribute;
  cardNumber: CardNumberInputElement;
  index: number;
  needDividerRender: boolean;
}

export const CardNumberInput = memo(function CardNumberInput({
  type = 'text',
  cardNumber,
  index,
  needDividerRender,
}: CardNumberProps) {
  const { checkWhetherThisUserInputCanBeSet, value, setRef, errorMessage } = cardNumber;
  const isError = !!errorMessage;

  const cardContextApis = useCardContextApis();

  const onInputChange = {
    if (checkWhetherThisUserInputCanBeSet(e.currentTarget.value)) {
      const newValue = filterNumber(e.currentTarget.value);
      cardContextApis?.dispatch({ type: 'cardNumbers', payload: { index, value: newValue } });
    }
  };

  // CardInfoInputElement는 input Element를 한번 추상화한 컴포넌트입니다.
  // 내부적으로 Error를 판단해 UI로 표현해줍니다.
  return (
    <CardInfoInputElement
      type={type}
      value={value ?? ''}
      className="input-basic"
      ref={setRef.bind(cardNumber)}
      error={{ isError }}
      onChange={onInputChange}
    />
  );
});

Auto focusing 기능 구현

아래는 AutoFocus를 위해 만든 custom Hook입니다.

cardStore가 갱신될 때마다 실행됩니다.

// auto focusing 기능을 책임지는 custom hook
// 현재 active인 ref의 state가 isValid인 것을 확인하고 처음부터 끝까지 valid를 확인하고 처음 invalid한 곳을 바라보게한다.
export function useSequentialAutoFocus(cardStore?: TCardState[][] | null) {
  useEffect(() => {
    if (!cardStore) return;

    const activeState = findActiveState(cardStore);
    if (activeState && !activeState.errorMessage && activeState.isAllowToFocusNext()) {
      findInvalidStoreAndFocus(cardStore);
    }
  }, [cardStore]);
}

// 현재 active한 Element를 찾는다.
export function findActiveState(cardStore: TCardState[][]): TCardState | null {
  let activeState: TCardState | null = null;

  cardStore.some((cardStateList) =>
    cardStateList.some((cardState) => {
      const isActiveElement = cardState.ref === document.activeElement;
      if (isActiveElement) activeState = cardState;
      return isActiveElement;
    })
  );

  return activeState;
}

// value가 없거나 errorMessage가 있는 state를 focus한다.
export function findInvalidStoreAndFocus(cardStore: TCardState[][]): TCardState | null {
  let invalidState: TCardState | null = null;

  cardStore.some((cardStateList) =>
    cardStateList.some((cardState) => {
      const isInvalid = !cardState.value || !!cardState.errorMessage;
      if (isInvalid) {
        invalidState = cardState;
        // Focus를 이곳에서 실행합니다!!
        cardState.ref?.focus();
      }
      return isInvalid;
    })
  );

  return invalidState;
}

여러겹의 추상화 계층으로 재사용성을 높여보자.

OOP에선 여러번의 상속을 통한 상속 계층을 통해 객체의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함수의 세계에선 추상함수를 구체화 함수에 포함하여 사용하는 방법으로 여러 layer를 두어 재사용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그 예시로 외부 storage와 소통을 위한 useFetch와 service 객체가 있습니다.

useFetch와 service 객체 구현

아래는 저의 구현입니다. 단계별로 구현됩니다.

1단계: General Type을 통해 그 어떤 Service든 받아들일 수 있는 useFetch hook

import { useCallback,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export interface Service<T> {
  get(): Promise<T | null>;
  post(newStore?: T | null): Promise<T | null>;
}

// Generic Type을 2가지 경우의 수로 setting할 수 있도록 제공
// 스스로 externalStore를 GET하고 POST해줄 수 있는 객체 넣고, 그 결과를 React lifecycle에 맞춰서 제공해줄 수 있는 hook
export function useFetch<T>(service?: Service<T>): {
  fetchedData?: T | null;
  fetch: (key: keyof Service<T>, newStore?: T | null) => void;
};
export function useFetch<T, K extends { [method: string | number | symbol]: Promise<T | null> }>(
  service?: Service<T> & K
): { fetchedData?: T | null; fetch: (key: keyof Service<T> & keyof K, newStore?: T | null) => void } {
  const [fetchedData, setFetchedData] = useState<T | null | undefined>();

  useEffect(() => {
    service?.get().then((res) => {
      setFetchedData(res);
    });
  }, [service]);

  const fetch = useCallback(
    (key: keyof Service<T> & keyof K, newStore?: T | null) => {
      service?.[key](newStore).then((res) => {
        setFetchedData(res);
      });
    },
    [service]
  );

  return { fetchedData, fetch };
}

2단계: 외부 storage와 연결해주는 service 객체 생성

const LOCAL_STORAGE_CARD_LIST_KEY = 'cardList';

const get = async () => {
  const item = window.localStorage.getItem(LOCAL_STORAGE_CARD_LIST_KEY);
  return item ? (JSON.parse(item) as TCardList) : null;
};

export const localStorageService: TCardListService = {
  get,
  post: async (cardList: TCardList) => {
    window.localStorage.setItem(LOCAL_STORAGE_CARD_LIST_KEY, JSON.stringify(cardList));
    return get();
  },
};

3단계: useFetch를 이용해 cardStore만을 다루는 useFetchCardList hook 생성

export function useFetchCardList() {
  const appContext = useApplicationContext();
  const { fetch, fetchedData } = useFetch<TCardList | null>(localStorageService);

  const postCard = useCallback(
    (card: TCard, givenCardId?: string) => {
      const cardId = givenCardId || new Date().getTime();

      if (!fetchedData) {
        fetch('post', { [cardId]: card });
        return;
      }

      fetchedData[cardId] = card;
      fetch('post', fetchedData);
    },
    [fetch, fetchedData]
  );

  const deleteCard = useCallback(
    (cardId: string) => {
      if (!fetchedData) return;

      delete fetchedData[cardId];
      fetch('post', fetchedData);
    },
    [fetch, fetchedData]
  );

  return { cardList: fetchedData, postCard, deleteCard };
}

페이먼츠 PR 리뷰

구현을 마치고 PR을 올리면 리뷰어님이 제 구현 코드를 보고 리뷰를 주십니다.

현재 코드에서 좀 더 확장성 있고 읽기 쉬운 코드가 되기 위해 놓친 부분들을 많이 지적해 주셨고,

참고하여 더 깨끗하고 좋은 코드로 수정할 수 있었습니다. 😁

(수십개가 넘는 Comment로 두들겨 맞은건 비밀 😇)

input Element와 동기화 된 state 객체의 문제점 -> DOM 의존성 문제, 로직 책임 문제

로버트 C. 마틴이 쓴 클린코드 책에 따르면, 객체의 재사용성을 위해선 객체끼리의 낮은 결합도와 한가지의 역할만을 맡을 것을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제가 설계한 객체는

  • HTMLElement와 강하게 결합되어 있고,
  • component의 onChange 이벤트를 조작하는 로직 또한 가지고 있어, 여러 역할을 맡고 있었습니다.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DOM에 직접적인 의존성을 가지고 있음

위에 구현한 코드를 보시면 HTMLInputElement를 그대로 들고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 간략화한 코드
export class CardNumberInputElement {
  ref?: HTMLInputElement | null;

  setRef(ref?: HTMLInputElement | null) {
    this.ref = ref;
  }
}

state가 DOM을 직접 가지고 있으면, DOM이 없는 환경에서 바로 문제가 발생할 수 밖에 없습니다.

당장 Server 환경에선 문제가 발생할 것입니다.

코드 변경 또한, 직접 class를 바꿔주고, ref를 사용하는 모든 코드를 바꿔야하므로 굉장한 자원이 소모 됩니다. 😇

로직의 사용처와 선언부가 너무 떨어져 있다. 즉, 책임이 잘못 배정돼있음

두번째로 문제가 되는 것은 state 객체에 책임이 너무 많다는 것이었습니다.

UI 이벤트에 관여하는 로직을, state 객체가 가지고 있어 사용처와 선언부가 매우 멀어 가독성도 떨어질 뿐더러 객체의 책임 소재가 조금 잘못되었다고 생각했습니다.

이렇게 되면 컴포넌트를 이용하기 위해 매번 복잡한 객체를 만들어 제공해줘야합니다. (state 객체가 구체적인 로직을 가지고 있기 때문)

또한, 컴포넌트는 로직이 자주 변경되는 부분 중 하나인데, 만약 새로운 요구사항으로 추상화 컴포넌트를 수정하게 되면, state 객체까지 수정해야합니다.

유지보수가 굉장히 번거로워집니다.

아래는 문제가 되는 부분들만 모아놨습니다.

// 간략화한 state 객체 코드
export class CardNumberInputElement {
  value?: TCardNumber;

  isAllowToFocusNext() {
    return this.value?.length === 4;
  }

  checkWhetherThisUserInputCanBeSet(inputValue: TCardNumber) {
    return !inputValue || inputValue.length <= 4;
  }
}
// 간략화한 컴포넌트 코드
export const CardNumberInput = memo(function CardNumberInput({
  cardNumber,
}: CardNumberProps) {
  const { checkWhetherThisUserInputCanBeSet, value, setRef, errorMessage } = cardNumber;
  const isError = !!errorMessage;

  const cardContextApis = useCardContextApis();

  const onInputChange = {
    // !!: state 객체가 onChange 로직에 관여!
    if (checkWhetherThisUserInputCanBeSet(e.currentTarget.value)) {
      const newValue = filterNumber(e.currentTarget.value);
      cardContextApis?.dispatch({ type: 'cardNumbers', payload: { index, value: newValue } });
    }
  };

  return (
    <CardInfoInputElement
      type={type}
      value={value ?? ''}
      ref={setRef.bind(cardNumber)}
      error={{ isError }}
      onChange={onInputChange}
    />
  );
});
// auto focus custom hook 로직의 일부분입니다.
const isInvalid = !cardState.value || !!cardState.errorMessage;
if (isInvalid) {
  invalidState = cardState;
  // !!: state 객체가 custom hook 로직에 관여합니다!
  cardState.ref?.focus();
}

-> Jbee님의 클린코드 포스팅soso님의 클린코드 포스팅을 참고했습니다.

이렇게 수정!

따라서, state에 모든 메소드를 분리하고 DOM의 의존하는 property를 없애 최대한 단순화 하였고, 컴포넌트에서 비즈니스 로직이 수행되도록 수정했습니다.

// ?!?! 엄청나게 가벼워졌습니다.
export interface CardNumberState {
  value?: CardNumber;
  errorMessage?: string;
}
// validator라는 Directory를 새로 만들어 검증 로직을 별도로 관리했습니다.
export function validateCardNumber(cardNumber?: CardNumber) {
  if (!cardNumber || cardNumber.length !== 4) {
    return '카드 번호 4자리를 입력해주세요.';
  }
}

export function checkIsCardNumberFulfilled(cardNumberState: CardNumberState) {
  const { errorMessage, value } = cardNumberState;
  return !errorMessage && value?.length === 4;
}

아래는 컴포넌트 입니다.

import {
  CardNumberState,
  useCardContextApis,
} from '@/contexts/CardContext';
import {
  validateCardNumber,
} from '@/contexts/CardContext/validator';

interface CardNumberProps {
  type?: HTMLInputTypeAttribute;
  cardNumber: CardNumberState;
  index: number;
}

export const CardNumberInput = memo(function CardNumberInput({
  type = 'text',
  cardNumber,
  index,
}: CardNumberProps) {
  const { value, errorMessage } = cardNumber;
  const isError = !!errorMessage;

  const cardContextApis = useCardContextApis();

  const onInputChange = (e: ChangeEvent<HTMLInputElement>) => {
    const filteredNumber = filterNumber(e.currentTarget.value);

    // 메소드가 아니라 직접 컴포넌트에서 로직을 수행합니다.
    if (!filteredNumber || filteredNumber.length <= 4) {
      const newValue = filteredNumber;
      // 객체가 아닌 validator에서 가져온 로직을 사용합니다.
      const errorMessage = validateCardNumber(newValue);

      cardContextApis?.setOneCardState({ type: 'cardNumbers', index, newState: { value: newValue, errorMessage } });
    }
  };

  return (
    <CardInfoInputElement
      type={type}
      value={value ?? ''}
      ref={(el) => {
        if (el) setElement(el, 'cardNumbers', index);
      }}
      onChange={onInputChange}
      error={{ isError }}
    />
  );
});

여러겹의 추상화 -> 굳이 이렇게까지? 가독성이 크게 떨어지고 코드 수정에 불리

YAGNI, You aren't gonna need it - 익스트림 프로그래밍, 론 제프리스

기능에 비해 추상화 레이어가 너무 많아 이해하기 복잡했습니다.

기능이 많이 않다보니 재사용되지 않는 추상화 레이어가 많아졌고 코드의 의도가 희석되어 코드의 이해가 어려워졌던 것입니다.

-> 알고보니 Dan Abramov도 같은 실수를 했었군요,,, ㅎㅎ Goodbye, Clean Code

의존성 다이어그램

review_diagram

의존성 다이어그램을 그려보면 복잡한 구조가 한 눈에 보인다는 리뷰어님의 조언에 따라 다이어그램을 그려보았습니다.

diagram

다이어그램을 그려보니 복잡함이 한 눈에 들어왔고 조금씩 구조를 개선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이렇게 수정!

다이어그램의 내용은 1차 수정이고, 최종적으론 service 객체를 받는 것이 아닌 사용자 스스로 state를 관리하고 그 state만 넘겨받는 것으로 변경했습니다.

대신, 특정 event에 관여할 수 있는 callback을 interface로 제공해 자신의 state를 원활히 관리할 수 있도록 했습니다.

  • 과거 service 객체를 받아오는 형태

service 객체를 받아 매소드를 통해 직접 CardList를 받아오는 형태입니다.

사용자는 service 객체의 interface와 로직을 지켜 전달해주어야합니다. 매우 번거롭습니다. 😰

// service 객체를 받아 매소드를 통해 직접 CardList를 받아오는 형태입니다.
export interface Service<CardList> {
  get(): Promise<CardList | null>;
  post(newStore?: CardList | null): Promise<CardList | null>;
}

export function useFetch<CardList>(service?: Service<CardList>) {}
  • state와 callback을 받는 형태

custom hook이 아닌 Context Api를 감싼 component에서 그대로 받습니다.

사용자는 cardList를 state로 직접 다루면서 내부 이벤트에 관여할 수 있는 콜백을 넣어줄 수 있습니다.

훨씬 직관적이고 사용자에게 cardList를 다룰 권한이 넘어가 훨씬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됐습니다. 🙌

// custom hook이 아닌 Context Api를 감싼 component에서 그대로 받습니다.
function ApplicationProvider({
  cardList = {},
  onCardConfirm = (card, cardId) => {
    console.log(`cardId : ${cardId}, card: ${card}`);
  },
  onCardDelete = (card, cardId) => {
    console.log(`cardId : ${cardId}, card: ${card}`);
  },
  onCardUpdate = (card, cardId) => {
    console.log(`cardId : ${cardId}, card: ${card}`);
  },
  onCardSubmit = (card, cardId) => {
    console.log(`cardId : ${cardId}, card: ${card}`);
  },
  children,
}) {
  const AppContextValue = { cardList, onCardConfirm, onCardUpdate, onCardDelete, onCardSubmit };

  return <ApplicationContext.Provider value={AppContextValue}>{children}</ApplicationContext.Provider>;
}

너와 나와 우리를 위한 클린코드

지금 이 코드를 리뷰해야하는 지금의 너와 내 코드를 보고 놀랄 미래의 나와 오랫동안 함께 이 코드를 관리해야 할 우리 팀을 위한 클린코드.

앞서 제목으로 너와 나와 우리를 위한 클린코드라는 제목으로 이 포스트를 시작했습니다.

코드를 계속해서 수정해보면서 느꼈던 클린코드의 중요성을 한줄의 제목으로 표현해봤습니다. 😁

페이먼츠 과제 리뷰어님과의 열띤 리뷰가 있은 후에 클린코드에 대한 post들과 클린코드 책(written by Robert C. Martin)을 읽으면서 클린코드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았습니다.

클린코드와 클린 아키텍쳐는 코드 변경을 쉽고 빠르게 하기 위한 노력이다.

클린코드 책에선 소프트웨어은 살아 숨쉬는 것이며, 이를 건축과 비교하여 프로그래밍을 설명합니다.

건축과 프로그래밍의 큰 차이는 재설계가 가능하다! 라는 것 입니다.

코드와 설계를 조금씩 고쳐가며 소프트웨어가 성장해나가는데, 이 과정을 잘해내기 위한 것이 클린코드입니다.

클린하게 코드를 정리해두면 기존 코드를 누구든 금방 이해할 수 있고, 최소한의 코드만 수정해도 됩니다.

  • 코드 변경의 파급을 최소화합니다. 정말 변경이 필요한 부분만 살짝 바꿀 수 있도록 합니다.

  • 코드를 읽기 쉽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쉽도록 하여 코드를 읽는 비용을 최소화합니다.

클린코드의 목적을 두가지로 간단하게 정리해봤습니다.

코드는 함께 보는 것이다. 명확한 원칙으로 코드의 의도를 뚜렷히 드러내야한다.

복잡한 코드를 해결하기 위한 기법들이 필요 이상으로 적용되면, 오히려 제 코드의 의도를 뚜렷하게 전달하기 힘들게 됩니다.

네이밍과 프로젝트 구조 마찬가지입니다. 명확한 기준으로 나누어 적용하지 않으면, 혼란스러워지고 코드의 의도를 흐리게 만듭니다.

코드의 의도가 흐려지면, 리뷰어들은 코드를 읽는데 더 어려움을 겪게 되겠죠,,,😱

기술적으로 놀라운 설계 기법과 디자인 패턴이 적용되었다고 해도, 상황에 적절하지 않다면 오히려 독이되는 것 같습니다.

"어려운 것을 쉽고 단순해보이게 하는 것이 진짜 실력자다" 라는 말이 생각나는데, 코드의 세계에서도 동일한 것 같습니다.

마무리

어마어마한 삽질의 시간이었지만 😅, 프로그래밍의 가장 기본이 되는 클린코드에 대해 고찰하고 공부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였다고 생각합니다.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습니다. 😁

제 허접한 코드를 읽는데 고생하시고 많은 도움주신 리뷰어님께 무한한 감사의 말씀을 드립니다! 🙌

감사합니다.

ref

클린코드 (written by Robert C. Martin)

JBee, 좋은코드란 무엇일까?

sosoLog, 내가 생각한 좋은코드

Overreacted, Goodbye, Clean code

Naver cloud platform, 좋은 코드란 무엇일까?🤔 #클린코드 이야기

우아한 테크 세미나, 지속가능한 SW 개발을 위한 코드리뷰 유튜브

profile
Lucky한 프론트 개발자 🍀 natcho9010@gmail.com
post-custom-banner

4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4월 25일

여러 추상화 레이어가 많아지면 그만큼 로직이 분산되고 유지보수가 어려워지죠
클린코드라는 관점에서도 간단한구조의 코드 흐름이 만들어지므로 글의 첫부분에서 마지막까지 개선되어 가는 과정이 공감되었습니다.

1개의 답글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4월 26일

I profoundly like your dedicated abilities as the post you distributed has some incredible data which is very valuable for me. TellPopeyes Survey

답글 달기
comment-user-thumbnail
2023년 5월 2일

Thanks for sharing the code. I can share this with the developer team of my office - morale patches UK company this might be useful for them.

답글 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