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 캐시
HTTP 캐시는 웹 브라우저나 프록시 서버에 리소스를 저장하여, 동일한 리소스에 대한 반복적인 요청 시 서버로부터 리소스를 다시 다운로드하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기술이다. 이는 웹 페이지 로딩 속도를 크게 향상시키고, 서버 부하를 줄이며, 네트워크 비용을 절감하는 데 유용하다.
캐시의 작동 원리
- 캐시 제어 헤더(Cache-Control Header): 서버는
Cache-Control 헤더를 통해 클라이언트에게 리소스의 캐시 가능 여부와 캐시 기간을 지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ache-Control: max-age=3600는 리소스를 1시간(3600초) 동안 캐시하라는 의미다.
- ETag(엔터티 태그): ETag는 리소스의 버전을 나타내는 고유한 식별자다. 클라이언트는 ETag를 사용하여 서버에 리소스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으며, 변경되지 않은 경우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 Last-Modified 헤더: 이 헤더는 리소스가 마지막으로 수정된 시간을 나타낸다. 클라이언트는
If-Modified-Since 헤더와 함께 이 정보를 서버에 보내어 리소스가 변경되었는지 확인할 수 있다. 변경되지 않은 경우, 서버는 304 Not Modified 응답을 보내고 클라이언트는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한다.
캐시의 장점
- 성능 향상: 클라이언트는 동일한 리소스를 반복적으로 요청할 때 캐시를 사용하여 빠르게 응답을 받을 수 있다.
- 서버 부하 감소: 서버는 반복되는 요청에 대해 새로 응답을 생성하지 않고, 캐시된 데이터를 사용하여 서버 부하를 줄일 수 있다.
- 네트워크 비용 절감: 캐시를 통해 동일한 리소스를 반복 다운로드하지 않으므로 네트워크 트래픽이 줄어들고 비용이 절감된다.
캐시의 단점
- 최신 데이터 사용의 어려움: 캐시된 데이터가 만료되기 전까지는 최신 데이터가 아닐 수 있다. 이로 인해 사용자가 오래된 데이터를 볼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 복잡한 캐시 관리: 적절한 캐시 관리 설정이 없으면, 불필요하게 오래된 데이터를 유지하거나 캐시의 이점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할 수 있다.
세션(Session)
세션(Session)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방법이다. HTTP는 기본적으로 상태가 없는(stateless) 프로토콜이기 때문에, 각 요청 간의 상태를 유지하지 않는다. 세션은 이러한 상태를 관리하여 사용자의 로그인 상태 유지, 쇼핑 카트 정보 저장 등의 기능을 구현할 수 있게 한다.
세션의 작동 원리
- 세션 ID(Session ID): 세션은 클라이언트에 고유한 식별자인 세션 ID를 부여하여 클라이언트를 식별한다. 이 세션 ID는 일반적으로 클라이언트의 브라우저에 쿠키로 저장되며, 이후 요청 시 서버로 전송된다.
- 서버의 세션 저장소: 서버는 세션 ID를 기반으로 사용자와 관련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이 저장소에는 사용자의 로그인 정보, 장바구니 내용, 폼 데이터 등이 포함될 수 있다.
- 세션 유지: 사용자가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페이지를 이동하거나 새로 고침할 때마다 세션 ID를 통해 서버는 해당 사용자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 경험이 개선되고, 불필요한 로그인 과정이 반복되지 않게 된다.
세션의 장점
- 상태 유지: 세션을 통해 사용자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어, 일관된 사용자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 보안: 세션은 서버에서 관리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민감한 정보를 클라이언트 측에 직접 저장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보안이 높다.
세션의 단점
- 서버 부하 증가: 모든 사용자의 세션 데이터를 서버에서 관리해야 하므로, 사용자가 많아지면 서버의 메모리와 성능에 부하가 가해질 수 있다.
- 세션 만료: 세션은 일정 시간이 지나면 만료되므로, 사용자가 세션 만료 후 다시 접근할 경우 재인증이 필요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