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를 분해하는 방법으로 정규화기법 사용 통합하는 기법으로 다중테이블에 대한 검색어 사용
(조인,서브쿼리, 집합연산자)
하나의 sql문에 또 다른 sql문 작성 **join
select
from
where
having
order by
insert의 values절
update의 set절
1) join(조인): JOIN(INNER, OUTER, CROSS, SELF JOIN) **inner join이 핵심
2) join을 쓰면 두 개의 테이블을 엮어서 둰하는 데이터를 추출할 수 있다.
3) inner join(내부조인)
두 테이블을 연결할 대 가장 많이 사용하는 것이 내부 조인이다.
그냥 조인이라고 부르면 내부조인을 의미합니다.
select <열 목록> from 테이블1 inner join 테이블2 on <조인될 조건>
inner join을 join이라고만 써도 inner join으로 인식한다.
select m.userId, b.board_no from member2026_1 m join board0626_2 b no m.userId=b.board_title;
select m.userId, b.board_no
from member0626_1 m
inner join board0626_2 b
on m.userId=b.board_title;
** 테이블간의 연관 관계 주테이블 1연관테이블 N
→ 외래키 설정 FK 1: N 주키
→ inner join → 일반적인 join ***두 테이블은 연관관계에 있다.
2) outer join
INNER(내부) JOIN 과 대비하여 OUTER(외부) JOIN이라고 불리며, JOIN 조건에서 동일한 값이 없는 행도 반환할 때 사용합니다.
즉 A, B 테이블을 JOIN 할 경우, 조건에 맞지 않는 데이터도 표시하고 싶을 때 OUTER JOIN을 사용합니다.
*조인 조회값이 없어도 출력
--left ouster join
--왼쪽 테이블을 기준으로 오른쪽 값이 없는 것도 가져온다.(null확인)
select m.custno, n.pcost
from member_07 m left outer join money_07 n
on m.custno = n.custno;
select m.custno, n.pcost
from member_07 m right outer join money_07 n
on m.custno = n.custn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