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
1)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조
- 일반적 개념 모델링 DB객체
- 데이터집합, relation, 개체집합(Entity set) 테이블(Table)
- 관계집합(relationship set)
- 관계집합 중 어떤 행(row) 튜플(Tuple), 엔티티(Entity) 레코드(Record)
- 관계집합 중 어떤 열(column) 속성(Attribute) 필드(Filed)
- *** 테이블(table), 행(row), 열(column), 필드(fields), PK, FK등의 개념
2) 관계형 모델의 구성요소
- 개체(object) 혹은 관계(relation)의 집합
- 관계(relation)에 가해지는 연산자의 집합
- 정확성과 일관성을 위한 데이터 무결성
3)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정의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관계들의 모음 또는 이차원 테이블의 모음입니다.
- 파일 시스템과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의 차이점
- 데이터의 무결성을 지켜준다.
- 데이터의 공유
- 데이터의 정확성과 일관성
- 중복성의 제거
- 불일치를 피할 수 있다.
- 표준화가 가능
4)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특징
- 데이터의 독립성 보장 : 개념화 기법 발달
- 각 테이블들은 고유한 이름을 가짐
- 중복 문제의 해결 기법 제공 : 정규형
- 데이터 조작언어의 발달 : SQL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테이블(table)들의 모임으로 구성
- 각 행은 일련의 값들 사이의 관계(relationship)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는 SQL(Structured Query Language)문을 사용하여 이용되고 수정
5) 엔티티(Entity) 관계 모델
- 업무 요구 또는 사양으로부터 엔티티 관계 도표를 생성합니다.
- 시나리오 → 특정 컨셉으로 프로젝트를 생성시
- “한 부서에서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인원을 배당하십시오.”
- “어떤 부서는 아직 인원을 배당 받지 못했습니다”
2. 데이터의 모델링
1) 데이터 모델링의 정의
2) 데이터 모델링의 목적
- 연관 조직의 정보요구에 대한 정호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 사용자, 설계자, 개발자 간에 효율적인 의사소통 수단을 제공한다.
- 데이터 체계구축을 통한 고품질 S/W와 유지보수 비용의 감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 신규 도는 개선 시스템의 개발 기초를 제공한다.
3. ER 모델링
1) ER과 ERD
- Entity, Relation, Diagram
- entity와 entity와의 관계(Relation)를 ER이라고 하며, 그림으로 도식화시킨 것을 ERD라고 한다.
- ERD의 구성요소는 엔터티, 관계, 속성 3가지이며 현실 세계에서 발생하는 데이터는 이 3가지 구성요소로 모두 표현이 가능하다.
2) ERMaster설치방법
- 이클립스에 ERD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직접 설치해야 한다.
- ERMaster설치방법
3) ER모델링의 장점
- 조직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고 자세하게 문서화
- 정보 요구사항의 범위를 명확히 기술할 수 있다.
-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느 표본을 제공한다.
- 복수 응용프로그램의 통합화를 위한 효과적 프레임워크를 제공한다.
4) 회원테이블 예제

- 회원테이블, 게시판 테이블 → Entity
- 시나리오
- “한명의 회원이 게시판에 게시글을 작성”
- “ 한명의 회원이 여러 글 작성”
- 내보내기<DDL을 하면 실제 SQL문으로 작성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