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B] 오라클 연산자

박정현·2023년 10월 26일
0

💽 데이터베이스

목록 보기
8/11
post-thumbnail

1. 산술 연산자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일반적인 산술 연산자인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나머지(%) 연산자를 지원합니다.

2. 비교 연산자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값의 비교를 위해 다음과 같은 비교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 등호(=) : 일치하는 것만 조회, 연산
  • 부등호(!= 또는 <>)
  • 크거나 작거나 같음(<= 또는 >=)
  • 크거나 작음(< 또는 >)
  • 같지 않다(<>, ! =, ^=)

3. 논리 연산자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논리 연산자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 AND
    • 조건1 and 조건2
    • 두 조건이 모두 true일 때 조회
  • OR
    • 조건1 or 조건2
    • 하나만 true일 때 조회
  • NOT
    • 조건의 true가 아닐 때 조회

4. 대입 연산자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변수나 상수에 값을 대입할 때 사용하는 대입 연산자인 등호(=)를 지원합니다.

5. 기타 연산자

오라클 데이터베이스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타 연산자를 제공합니다.

  • BETWEEN ... AND
    • between 1 and 10(1~10)
  • IN
    • 포함
    • in(1, 2, 3) 1,2,3이 포함되어 있는
  • LIKE
    • 칼럼 like ‘%’ → 포함되어있는 모든 ***조회(검색)→ “~포함하는” contain
    • 칼럼 like ‘a%’ → a로 시작하는 모든
    • 칼럼 like ‘%a%’ → a가 들어있는 모든
  • IS NULL

본 문서에서는 주요 연산자에 대해 설명하였으며, 그 외의 연산자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학습이 필요합니다.

6. 문자연산자 ||

  • 두문자를 연결하는 연산을 수행한다.
  • 사실, where문에 쓰이기 보다는 select ~ from ~ where에서 select쪽에 많이 쓰인다.

7. 연산자 우선순위

  • 곱하기와 나누기는 더하기와 빼기보다 우선순위가 높다
  • 같은 우선수위의 연산자는 죄측에서 우측으로 계산된다
  • 괄호는 강제로 계산의 우선수위를 바꾸거나 문장으로 명료하게 하기이해 사용된다.

8. 별칭

테이블 as 별칭;

칼럼명 as 별칭;

오라클 정렬

오름차순이 기본, 내림타순 → 조회

오라클에서 검색된 결과의 행을 정렳라 때는 order by정를 사용

  1. 오름차순 정렬(ascending sort) : 작은 값부터 큰 값으로 정렬ㄹ
    1. 기본 (생략 시) ASC
    2. 가, 나, 다 … / 1, 2, 3 …
  2. 내림차순(descending sort) 정렬ㄹ : 큰 값부터 작은 값으로 정렬
    1. DESC
profile
개발을 개발괴발하지 않기 위한 노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