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격의 컴퓨터를 빌려 저속하여 사용하는 서비스로 EC2란 하나의 컴퓨터를 의미한다.
서버를 배포하기 위해서는 컴퓨터를 24시간 가동하여 나의 서버에 외부 사용자들이 접속할 수 있도록 해야한다. 하지만, 이러한 점의 불편함과 더불어 외부에서 나의 컴퓨터에 접속하여 해킹하여 나의 컴퓨터의 보안 상의 위험성 또한 감내해야 한다는 점 또한 있다. 이로 인하여 나의 컴퓨터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외부의 컴퓨터를 사용하여 AWS EC2라는 서비스를 통해 컴퓨터를 빌려서 사용함 으로써 서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더 나아가 AWS EC2에서 제공하는 그 외의 기능들(ex. logging, autoscaling, loadbalancing 등)을 활용하기 위해서도 사용한다.
주로 EC2는 Back End server를 배포할 때 주로 사용한다. Front End의 경우에는 vercel, netlify 또는 AWS S3를 사용하여 주로 배포한다.
인스턴스 시작 클릭
이름 및 태그 설정 (추후에 여러 서버를 개설 할 수 있기 때문에 직관적인 서버명 기재)
OS 설정하기(Ubuntu로 Server를 주로 개설한다. 그 이유는 다른 OS보다 경량화 되어 있기 때문에 비용적으로 이점이 많기 때문이다.)
인스턴스(빌린 컴퓨터의) 유형(컴퓨터 사양) 설정하기
키 페어(로그인) : 어떠한 서버에 접속 할 때 사용할 열쇠의 개념으로 아무나 접근하면 안되기 때문에 이름은 직관적으로 작성하되, 해당 파일은 공유 및 분실하지 않도록 주의해야한다.
그 외 키 페어 유형 및 프라이빗 키 파일 형식의 설정의 경우에는 그다지 중요한 설정이 아니기에 skip
네트워크 설정
보안그룹(Security Group) 설정
보안 그룹(Security Group) 이란 ? AWS 클라우드에서의 네트워크 보안을 의미한다.
쉽게 설명하자면 외부에서의 접근(트래픽)을 허용할 것인가 불허할 것인가를 일차적으로 검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방화벽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어떠한 트래픽을 허용할 지 불허할 지에 대한 설정하는 것을 보안 규칙으로써 설정하게 되는데 이 보안 규칙은 크게 인바운드 트래픽(Inbound traffic)과 아웃바운드 트래픽(Outbound traffic)으로 나뉜다.
인바운드 트래픽은 EC2 외부에서 인스턴스로 보내는 트래픽을 의미하고 아웃바운드 트래픽의 경우에는 EC2 인스턴스에서 외부로 나가는 트래픽을 의미한다.
유형란의 SSH란 원격 접속을 위한 경로를 의미하고 현재 캡쳐 내용의 경우에는 해당 내용의 경우에는 어떠한 컴퓨터에서든지 해당 EC2 인스턴스에 접근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소스 유형의 위치 무관이기 때문에) 더불어 HTTP 요청에 대해서도 접근할 수 있도록 보안 그룹 규칙 추가 버튼을 클릭하여 HTTP 유형의 Port 번호 80번 요청에 대해서도 추가함.
스토리지 구성 : EC2도 하나의 컴퓨터이기 때문에 HDD, SSD와 같은 저장 공간을 EBS( Elastic Block Storage)라고 부른다. 즉, EBS는 EC2안에 부착되어 있는 하나의 하드디스크 라고 생각하면 된다. EBS와 같은 저장 공간의 포괄적인 개념이 Storage, Volume 이다.
프리티어 서비스의 경우 30GB 까지 무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인스턴스 시작 버튼 클릭하여 인스턴스 생성하기
도메인을 발급하고 관리해주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DNS(Domain Name System) 서비스 이다.
더불어, HTTPS의 경우 IP 주소는 적용할 수 없기 때문에 도메인 주소가 있어야만 HTTPS를 적용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특정 서비스를 운영할 때 도메인은 반드시 사용하게 된다.
단, AWS Route 53이 아니라 gabia, whois등 다양한 도메인을 구매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가 있기 때문에 현업에서는 AWS Route 53만을 고집하지는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