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sign Pattern(디자인 패턴)
- 어떤 작업을 수행하는 코드들을 정형화 시켜놓은 기법
- 싱글톤 패턴, DAO&DTO 패턴, 옵저버 패턴, 빌더 패턴 등
싱글톤 디자인 패턴
- 유일한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모두가 공유하도록 하는 기법
- 생성자 정의
- 멤버변수를 통해 자신의 인스턴스 저장
- 외부에서 접근 못하도록 private 지정
- 클래스 로딩 시 함께 로딩되도록 static 지정
- 자신의 인스턴스를 외부로 리턴하는 Getter 정의
- 누구나 접근 가능하도록 public 지정
- static 멤버변수에 접근하므로 static 지정
DAO&DTO 패턴
-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수행하는 애플리케이션 개발 시 주로 사용하는 패턴
- DAO(Data Access Object, 데이터 접근 객체) 객체(클래스)
=>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직접적으로 수행하는 코드들을 모아놓은 객체(클래스)
=> DB 에 직접 접근하여 INSERT, UPDATE, DELETE, SELECT 구문 등을
실행하는 코드들의 모음집 역할 수행
=> 클래스명은 주로 XXXDAO 형태로 지정하며 XXX은 보통 테이블명 사용
ex) Board 테이블에 접근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DAO 클래스 : BoardDAO
- DTO(Data Transfer Object, 데이터 전송 객체) 객체(클래스)
=> 데이터베이스 작업 관련 데이터들을 하나의 객체로 모아주는 객체
=> 데이터베이스에 필요한 데이터들을 DTO 객체에 담아 전송하기 편리하도록 도와주는 역할 수행
=> 클래스명은 주로 XXXDTO 또는 XXXBean 형태로 지정하며 XXX은 보통 테이블명 사용
ex) Board 테이블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는 DTO 클래스 : BoardDTO 또는 BoardBean
(DTO 는 대부분의 언어 공통 용어이며, Bean 은 자바 계열 웹프로그래밍에서 사용하는 용어)
